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연비 탓에 CNG 개조 차 급증…안전 고려해야

<앵커>

차를 CNG로 개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연비는 확 좋아지겠지만 정작 충전할 데가 마땅치 않고 위험한 요소도 많습니다.

서경채 기자입니다.



<기자>

휘발유를 CNG로 개조한 승용차입니다.

운전자는 휘발유보다 소음이 작고, 특히 연료비가 크게 줄었다고 만족해 합니다.

[고기용/CNG개조차 운전자 : 상당히 경제적이죠. 한 2만 원에 충전이 완료가 되니깐. 금액적인 부분에서 상당히 이익을 본다고 생각합니다.]

연료 1만 원어치를 넣을 경우 주행 가능 거리가 2000CC 기준으로 CNG 차는 127km, 휘발유 차는 51km여서 2.5배 이상 더 달릴 수 있습니다.

개조비용이 4~500만 원 정도지만 평소 장거리 운행을 한다면 경제적입니다.

이러다보니 CNG 개조 차량은 지난해 4000대를 넘어 4년 만에 33배나 늘었습니다.

하지만 충전할 곳이 많지 않습니다.

CNG 충전소는 서울에 33개, 전국적으로도 180여 개에 불과합니다.

또 충전소는 대부분 도시 외곽에 있고 개인차량은 충전을 거부하는 곳이 많아 불편합니다.

[CNG 충전소 : 승용차는 충전 안 합니다. 버스도 꽉 차 있어서 여유가 없네요.]

안전도 챙겨야 합니다.

재작년 서울 CNG 버스 폭발사고, 연료탱크와 밸브가 문제였습니다.

이처럼 CNG는 200기압의 높은 압력으로 충전해 운행하기 때문에 관리가 중요합니다.

[김필수/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 : 진동이나 소음 또는 여러 가지 온도 변화에 의해서 샐 가능성 즉 누출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CNG 세금도 논란거리입니다.

휘발유는 세금이 절반인데 CNG는 6%에 불과합니다.

버스용 CNG는 공익성이 있지만, 개인까지 싸게 CNG를 사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겁니다.

개인들의 CNG 개조 붐에 맞춰 안전 관리와 충전 인프라 확대 여부 등 정부가 명확한 방침을 정해야 할 시깁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