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알레르기, 너무 깨끗해서 생긴다" 위생가설 입증

"알레르기, 너무 깨끗해서 생긴다" 위생가설 입증
너무 깨끗해서 알레르기 질환이 생긴다는 이른바 '위생가설'이 국내 연구진의 역학조사로 입증됐습니다.

한림대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소연 교수는 오늘 대도시인 서울과 소도시인 정읍시, 그리고 정읍지역의 시골 등 3개 지역의 9~12세 어린이 천 749명을 대상으로 알레르기질환 유병률과 원인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분석 결과 심한 운동을 할 때 생기는 '운동유발천식'의 경우 유병률이 시골이 8.2%, 소도시 12.7%, 대도시 13.2% 등으로 대도시가 가장 높았습니다.

알레르기비염 진단율도 시골 13.2%, 소도시 19.4%, 대도시 35.2% 등으로 대도시가 시골의 3배나 됐습니다.

아토피피부염 진단율 역시 시골 18.3%, 소도시 23.2%, 대도시 28.0% 등으로 같은 추세를 보였습니다.

'알레르기 3총사'로 불리는 천식과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 모두 시골보다 도시에서, 소도시보다는 대도시에서 발병률이 높은 것입니다.

또 알레르기 질환은 생활형태에 따라서도 달라졌는데 ▲부모가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경우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 ▲모유 수유를 한 경우 ▲나이 많은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 등은 알레르기질환 발생이 감소했습니다.

이소연 교수는 "농장 동물이나 동물 배출물 등에 들어 있는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노출 빈도가 높아 면역력이 잘 형성돼 알레르기질환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나이 많은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에는 큰아이에게서 직간접적으로 전파되는 감염이 면역체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