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CJ는 어떻게 승계됐나

[취재파일] CJ는 어떻게 승계됐나

『이병철(1910년생)의 장남은 이맹희(1931년생)이다. 이맹희는 이미경(1958년생)과 이재현(1960년생),이재환(1962년생)을 뒀다. 장남 이재현은 딸 이경후(1985년생)와 아들 이선호(1990년생)를 두고 있다.

손경식은 이재현의 외삼촌으로 현재 CJ제일제당의 대표이사이다.

이재현의 아버지 이맹희는 한때 삼성그룹의 후계자로 거론됐던 인물이다. 1966년 이병철이 '사카린 밀수사건'으로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뒤 잠시 삼성그룹을 경영하기도 했다. 이후 그룹 경영에서 완전히 배제됐다.

CJ그룹은 1993년 6월부터 독자경영을 했다. 1997년 4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계열분리 승인을 받았다.

이재현은 대학 졸업 후 씨티은행에서 처음 일을 시작했다. 이후 1985년 CJ 경리부에 입사했고 1992년 이사대우로 승진했다. CJ의 독자경영이 발표된 직후 이재현은 상무로 승진했고, 1998년 대표이사 부회장이 됐다.

이재현의 지분 승계는 어머니로부터 시작됐다. 1993년 독자 경영 발표 당시 어머니 손복남은 삼성화재 지분 18%를 보유하고 있었다. 당시 CJ의 최대 주주는 11.3%를 보유한 이건희였다. 계열분리를 위해 손복남은 삼성화재 지분을 매각하고 CJ(당시 제일제당) 지분을 샀다. 이건희는 제일제당 지분을 매각했다. 1994년 3월 제일제당의 최대주주는 이건희 및 4인에서 손복남 외 3인으로 바뀌었다.

이재현이 차명계좌로 수천억원을 관리하고 있었음이 2008년 검찰 조사에서 드러났다. 이재현은 이병철로부터 상속받은 삼성화재 주식을 매각한 자금이라고 주장했다. 임직원 명의의 차명계좌를 통해 이 자금으로 CJ 계열사 주식과 채권을 매매했다는 것이다.

이재현은 1996년과 1998년 어머니 손복남으로부터 CJ주식 140만주를 증여받았다. 1998년과 1999년 신주인수권을 행사해 약 105만주를 추가로 보유하게 됐다.

CJ는 1997년 사모로 신주인수권부 사채를 발행했고, 같은 해 회사가 사채권을 모두 사들여 소각했다. 이는 회사가 자금조달 필요성이 없었음에도 사모로 BW를 발행해 이재현이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특혜를 제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CJ가 CJ모닝웰과 CJ엔터테인먼트를 합병하면서 CJ모닝웰과 CJ엔터테인먼트 지분을 가지고 있던 이재현의 CJ 지분율은 더 높아졌다. CJ모닝웰과 CJ엔터테인먼트는 그룹의 이른바 일감 몰아주기로 성장한 회사들이다. CJ가 지주회사 전환할 때 이재현은 공개매수에 참여해 CJ에 대한 지분율을 더 높였다. 지주회사 전환 직전인 2006년 19.73%였던 이재현의 CJ 지분율은 전환 후 43.36%가 됐다.

이경후는 2005년, 이선호는 2006년부터 계열회사 지분을 보유하기 시작했다. 이경후와 이선호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가치는 2010년말 현재 346억원이다. 지분 규모가 미미해 아직 4세들로의 경영권 승계 작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이상은 경제개혁연대가 9월 1일부터 발표하기 시작한 '경제개혁리포트 - 재벌승계는 어떻게 이뤄지나'의 제2호 CJ그룹편을 요약한 것이다.

경제개혁연대는 제1호 '삼성그룹편'과 'CJ그룹편'을 포함해 모두 20편의 '리포트'를 발간할 계획이다. 신세계그룹과 현대차그룹 등이 예고돼 있다.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는 게 목적은 아니지만 그간 우리나라 재벌의 승계 과정을 효과적으로 정리해 보여주고 있다.

CJ의 경영권 승계는 삼성그룹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부당한 주식 거래(BW나 CB 인수를 통한 지분 취득), 일감 몰아주기(또는 회사기회 유용), 차명계좌 등이 어김없이 등장한다.

이재현의 딸 이경후가 가진 핵심 계열사 CJ와 CJ제일제당의 지분은 0.1%대 수준이다. 보유한 계열사 지분 가운데 지분율이 높은 것은 C&I레저(20%)와 CJ파워캐스트(12%)다. 아들 이선호 역시 C&I레저(38%)와 CJ파워캐스트(24%)에 대한 지분율이 높다. 4세로의 경영권 승계가 이들 회사를 매개로 추진될 것임을 시사한다.

최근 일감 몰아주기에 대한 증여세 부과 방안이 세법개정안에 포함돼 발표됐다. 재벌 승계 과정에서 나타난 부당함과 불법성을 끊기 있게 지적해 온 시민사회단체의 노력 때문에 가능했다. "3세로의 경영권 승계가 사실상 마무리된 시점에서 정부와 정치권이 뒷북을 쳤다(치는 시늉을 했다)"는 비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옛 사람들은 '부자가 망해도 3대는 간다'고 했다. 달리 표현하면 4대까지 거저 부자가 되는 것은 아주 어렵다는 얘기다. 우리 사회는 부자(재벌)가 4대까지 거저 이어지는 것을 철저히 감시할 준비가 돼 있는 것일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