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약품 분류 '난제'…선진국들 '소비자가 기준'

<8뉴스>

<앵커>

물론 이 의약품 분류라는 게 국민들이 원한다고 다 쉽게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전문적인 판단이 필요한 사안입니다.

그래서 의료 선진국들은 과연 어떻게 하고 있는지 우상욱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일본 도쿄의 편의점 감기약과 소화제 등 각종 의약품들이 진열대 한 켠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지난 1998년부터 단계적으로 약국외 판매 약품의 비중을 늘려 일반의약품의 95%를 슈퍼와 편의점 등에서 팔고 있습니다.

통신판매도 가능합니다.

[도쿄 시민: 가까이에 약국이 한 곳뿐이라서 편의점에서 바로 약을 살 수 있어서 편리하죠.]

다만 특별한 안전장치가 있습니다.

약품을 취급하는 슈퍼나 편의점은 복약지도를 전문으로 하는 등록판매사를 반드시 고용해야 합니다.

자격증을 가진 등록판매사는 현재 10만명 정도입니다.

[스즈키/등록판매자: 반년 동안 (약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고객에게 약을 판매한다는 책임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약품 판매가 더욱 자유롭습니다.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될 경우 일반의약품으로 분류해 일반 상점에서 팔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일반의약품인 살 빼는 약 제니칼 등 몇몇 종류는 연령이나 용량에 따라 전문의약품으로 취급하는 등 소비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분류해 운용합니다. 

[제이 박/LA시 약사: 200mg은 (약국) 밖에서 팔고, 400·600·800mg은 (약국) 안에서 팔고. FDA 승인 나오고 그러면요.]

또, 부작용이 있는지를 추적 검사해 3~5년 주기로 전문의약품으로 재분류할지를 검토합니다.

프랑스는 약품의 약국외 판매를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슈퍼보다 약국 수가 더 많아 소비자에게 더 편하다는 판단에서입니다.

결국 의료 선진국들이 약품을 분류하고 취급하는 기준은 의사나 약사의 밥그릇이 아니라 오로지 소비자의 안전과 편의성에만 있습니다.

(영상취재: 유재영, 영상편집: 조무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