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청호 속의 섬, 오대리 주민들이 대나무를 들고 다니는 이유는?

대청호 속의 섬, 오대리 주민들이 대나무를 들고 다니는 이유는?

사실 대청호는 거의 매년 얼어붙습니다. 대청호 말고도 수많은 국내 호수와 강들이 얼겠죠.

"대청호가 얼었다고? 그래서 뭐"

저도 처음엔 그리 생각했습니다. 오히려 얼음은 서울 한강이 더 두껍고, 추운 걸로 치면 목동이 더 매서울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길라임의 액션엔 라벤더향이 나듯(^^) 대청호의 얼음엔 주민들의 한과 고생이 묻어 있습니다.

지금의 대청호는 1980년 대청댐이 건설되면서 형성됐습니다. 그 전에도 물이 흘렀지만 신발 벗고 걸어서 건널 정도였다고 합니다. 당시 정부는 사는 데 아무 불편이 없도록 해주겠다고 설득해 주민들을 이주시킨 뒤 댐을 건설합니다.

이후 여느 곳처럼 보상을 둘러싸고 갈등이 벌어집니다. 시간이 흐른 뒤 지친 주민들은 하나 둘 떠났습니다.

한때 다섯 마을을 합쳐 150가구를 품었던 오대리는 호수 속 섬으로 고립돼 지금은 13가구만 남아 있습니다. 그나마 젊은 사람은 찾기 힘들고 노인들이 대부분입니다.

꽁꽁 언 대청호를 건널 때면 주민들은 각자 대나무를 손에 쥐고 무리 지어 걷습니다. 만일 얼음이 깨지기라도 하면 대나무가 구조용 밧줄 역할을 하게 됩니다. 재작년 주민 5명이 언 대청호를 건너다 3명이 물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부터 생겨난 새로운 풍경입니다.

오대리와 막지리 등 대청호 인근 주민들은 다리 하나 갖는 것이 소원입니다. 배를 기다리지 않아도, 얼음이 얼어도 언제든 바깥세상과 왕래할 수 있는 길을 원합니다. 그러나 지자체에선 14가구, 17가구 등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들여 다리를 짓는 건 불가하다는 입장입니다. 이해 못할 일은 아닙니다.

지금처럼 단단하게 얼음이 얼면 그나마 괜찮지만, 얼음이 얼기 시작할 때와 녹기 시작할 때 저렇게 얼음 위를 걷는 건 정말 위험합니다. 특히 노인들이 대부분이라 얼음이 깨지면 바로 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가구수도 얼마 안 돼 표를 위한 전시행정도 이곳에선 기대하기 힘드네요. 솔로몬의 해법, 어디 없을까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