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해적 공격시 무장요원 탑승"…공세적 대응 추진?

<8뉴스>

<앵커>

삼호 주얼리호 피랍을 계기로 해적에 대한 우리의 대응책이 공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무장 보안요원 탑승 등 관련 대책을 내놓았는데 뜻대로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권영인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인도양에서 발생한 해적 선박피해는 모두 446건.

지난 3년간 50%나 늘었습니다.

공격 범위도 소말리아 근해에서 인도양 중앙지대로까지 확대됐습니다.

[조봉기/대한선주협회 해무팀 부장 : 해적들이 한 척만 오는 것이 아니라 고속정으로 여러 척이 동시에 배로 승선을 시도하기 때문에 그것을 효율적으로 퇴치하는 것은 쉽지 않죠.]

이에 따라 정부는 무장 보안요원을 탑승시키고 선원들의 긴급대피처를 배안에 설치하도록 하는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말처럼 쉽지 않아 고민입니다.

무장 보안요원의 경우, 4명을 2주간 고용하는데 약 5천만 원의 돈이 더 들어갑니다.

그렇다고 무장군인을 탑승시키면 상선이 아닌 전투함으로 간주돼 영유권 침해가 돼 버립니다.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삼호주얼리호는 현재 소말리아 영해로 끌려가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해적과의 협상은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석방의 댓가로 거액의 몸값을 지불해온 기존 관행을 끊을 수 있는 새 대책이 마련될 지 주목됩니다.

(영상취재 : 유동혁, 영상편집 : 조무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