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족, 사회가 지켜야…지원정책 턱없이 모자라

<8뉴스>

<앵커>

치열한 경쟁이 계속되는 현대사회에서 일과 가족을 모두 챙긴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혹시, 기업과 사회가 나선다면 방법이 있지 않을까요? SBS와 경제인문 사회연구회가 함께 기획한 일류 국가로 가는 길. 오늘(9일)은 가족 기능의 회복을 위한 사회 차원의 대책을 짚어보겠습니다.

조성현 기자입니다.

<기자>

회사원 유영복씨는 한 달에 두 번 평소 보다 2시간 이른 오후 5시 반에 퇴근합니다.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라고 회사 전체가 일찍 업무를 끝내는 겁니다.

[유영복/서울 면목동 : 집에서 애랑 많이 놀아주고 그러면 마음이 편해지니까 그 다음에 회사에서 일의 집중도도 더 높아지게 되는 것 같아요.]

하지만 노동시간이 OECD 국가 중 가장 긴 우리나라에서 이런 기업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입니다.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하게 하거나 정기적으로 이른 귀가를 보장하는 기업에 정부가 '가족 친화 기업' 인증을 해주고 있지만, 세금 혜택 같은 실질적 지원이 없어 참여 기업은 34곳에 불과합니다.

또 정부는 학생들이 가족과 지내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학교와 학원에 한 달에 한 번 야간자습, 야간수업 없는 날을 권고했지만 지키는 곳은 거의 없습니다.

[장대한/고교 2학년 : 그런거 한 번도 없었어요. 공부 잘하는 애들이 많아야 학교에서 더 좋으니까 더 공부시키려고 하는 것 같아요.]

이 뿐만 아니라 영유아나 청소년, 노인 등 개별 구성원을 위한 정책에 비해, 부부나 부모-자녀가 참여하는 가족 단위의 지원 정책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김승권/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원 : 개인을 단위로 한 정책이 아니라 가족을 단위로 한 가족을 안정적으로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이어야만이 가족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과 가정이 균형을 이루고 사회가 이를 뒷받침 할 때 비로소 가족은 제기능을 다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영상취재 : 배문산, 영상편집 : 오광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