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형사고 막으려면? '안전불감증'부터 추방하자

<8뉴스>

<앵커>

SBS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공동기획한 일류국가로 가는 길 연속보도, 오늘(19일)은 우리 사회에 여전한 안전불감증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박상진 기자입니다.

<기자>

수도권의 한 건물 공사현장.

10여 미터 높이에서 근로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지만 안전모를 착용한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건축용 비계를 이용해 작업과 이동을 하는 모습은 위험천만입니다.

이 공사장에서는 최근 석달 동안 2명이 추락사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추락방지망은 늘어져 있고 난간은 노끈으로 매여 있습니다.

[전용수 : 안전모가 귀찮은 상황이 벌어져요. 그러다보니까 안쓰는 경우도 있고, 현장에서는 현장대로 어쨌든 안전교육을 하긴 해야하는데 형식에 머무를 수 밖에 없고.]

한국어도 서툴고 근무환경이 열악한 외국인 노동자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고려인 3세 첸 겐나지 씨는 지난 2006년 대형기계에 깔려 하반신이 마비됐습니다.

[첸 겐나지/외국인 노동자 : (안전교육에 대해) 솔직히 모르겠어요. 그냥 (일만) 시켰잖아요. 이렇게 이렇게 하라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도 여전히 부진합니다.

2008년과 지난해 연이어 발생했던 냉동창고 화재에서 대형참사를 야기한 샌드위치 패널의 경우 안전 등급분류도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 : 등급을 분류하는 건 국제적으로 다른 선진국에서도 표준화가 안 돼 있어요.]

이러다보니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지난 2008년 17조 원이 넘었습니다. 

지난 1999년 5만 5천여 명이던 산업재해자는 지난 2008년 9만 5천여 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수곤/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공무원들이 감사원 감사에 처벌을 두려워해가지고 제대로 원인을 밝히지 않아요. 전부다 사고가 나면 자기 책임 없다고 발뺌하기 바빠요. 그게 우리나라의 현실인데…]

전문가들은 대형 사고의 반복을 막기 위해선 무엇보다 사회전반에 퍼져있는 안전불감증을 타파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 홍종수, 영상편집 : 채철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