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산물 이력제 아십니까? 참여율 1%도 못 미쳐

<8뉴스>

<앵커>

저도 사실 처음 들어봅니다만, 수산물 이력제라는 게 있다고 합니다.

시행된 지도 벌써 1년이 넘었다는데, 아는 사람도  따지는 사람도 별로 없는 이유를, 권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대형 수조에서 펄떡이는 광어 한 마리를 잡아올리자 꼬리표가 붙어 있습니다.

꼬리표의 일련번호를 입력하자 어디에서 잡았는지 유통회사는 어딘지가 자세히 나옵니다.

[안지현/서울시 영등포동 : 이렇게 어디서 잡혔는지 누가 잡았는지 다 표시를 해주시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걸 더 선호해서 사겠죠, 가격이 조금 더 비싸더라도.]

모든 수산물은 지난해 8월 이후 생산과 유통의 전 과정을 공개할 수 있도록 법에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쇠고기 이력제처럼 강제 규정이 아니다 보니 참여율은 채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민들 대부분이 영세해 이력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드는데다 EU 나 일본 등 어업 선진국들도 아직 전면 실시를 유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수산물 이력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매우 높습니다.

[문광민/E-마트 선어팀장 : 수산물 이력제를 실시하고 나서부터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높아져서 선어의 전반적인 매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그러나 현재 상표나 포장지 등 수산물 이력 관리에 드는 비용의 30%를 지원하는 정도의 지원책만 마련해 놓고 있습니다.

한-EU, 한-미FTA 시행을 앞두고 국제적인 선점효과가 필요하다며 법은 만들었지만, 구체적인 대안은 마련하지 못한 채, 어민들 눈치만 보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최은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