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 화폐개혁 단행하고도 '쉬쉬'…도대체 왜?

<8뉴스>

<앵커>

북한이 화폐 개혁 이틀이 지나도록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과거와는 전혀 다른 행태여서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하현종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은 과거 4차례 단행된 화폐개혁 때마다 우리의 법령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을 개정하고 그 내용을 곧바로 언론을 통해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17년 만에 이뤄진 이번 화폐개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침묵을 지키고 있어 정령 개정 여부 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공식발표가 지연된 배경에 대해서는 신흥 특권층의 재산을 환수하기 위해 기습적으로 화폐개혁을 단행해 후속 조치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양무진/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 : 교환 금액을 10만 원 내지 15만 원 한도로 제한한 것은 돈가진자 입장에서는 몰수를 의미하기 때문에 저항을 예상한 북한 당국이 나름대로 공식적인 발표를 미루고 있는 것이 아닌가 보여집니다.]

이번 화폐개혁이 시장 경제가 급격한 위축과 계획통제 체제의 강화를 의미하는 만큼 북한의 폐쇄성이 국제사회에 다시 부각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껴 발표를 하지 않고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화폐개혁을 둘러싼 북한 내부 혼란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 당국은 화폐 교환 한도를 가구당 10만 원에서 15만 원으로 올렸다가 다시 10만 원으로 낮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신 1000대 1 환산 저축이 조건인 추가 교환은 무제한 허용하기로 하는 등 교환 조건을 잇따라 재조정해 내부 반발 등의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영상취재 : 서진호, 영상편집 : 최진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