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짓고는 있지만.." 세종시 민간사업 차질 불가피

<8뉴스>

<앵커>

정운찬 총리 후보자의 발언으로 세종시 문제가 정국의 뜨거운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이미 건설이 한창 건설이 진행 중인 세종시, 과연 무엇이 문제이고 해법은 없는지, 이시간 집중보도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건설현장과 이주민들의 반응을 이용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97 제곱킬로미터, 서울시 면적의 절반 크기인 세종시 건설현장입니다.

논과 밭은 2년전부터 거대한 건설 현장으로 변했습니다.

총리실이 들어설 중앙행정타운은 건물 골조공사가 한창입니다.

2012년 완공되면 9부 2처 2청을 비롯해 36개 정부기관이 입주할 예정입니다.

이주민 등을 위한 7천세대 규모의 첫마을 조성사업도 지난3월 착공됐습니다.

하지만 1만 5천세대 규모로 예정된 민간 아파트 건설은 지지부진합니다.

세종시 건설사업에 대한 축소논란이 일면서 부지조성공사를 벌이고 있는 시공업체와 근로자들의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12개 건설회사 가운데 두 곳이 토지 분양대금 미납으로 계약해지 됐고, 나머지 업체들도 계약해지 위기에 몰려 있습니다.

[토지공사 관계자 : 언제까지 뭐 돈을 내서 분양을 하겠다 그것도 아니에요. 막연하게 무조건 (중도금 납부) 유예를 해달라고 그러는데 받아들일 수 없죠.]

삶의 터전을 내준 현지 주민들은 언제 돌아갈 수 있을지 속이 타들어갑니다.

[이옥례/이주민 : 내버려뒀으면 우리 거기서 땅을 파던, 뭐든 먹고사는데 내쫓고 나니까 나이 먹었다고 일도 안 오라고 해요.]

세종시 건설 예산은 22조 5천억 원, 4분의 1인 5조 4천억 원이 벌써 집행됐습니다.

국토 균형 발전 차원에서 계획된 세종도시, 계획 수정 논란이 확산되면서 민간분야의 사업 차질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