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내실 없는 공룡은행, 무분별한 대출로 화 자초

<8뉴스>

<앵커>

하지만 금융권의 부실 우려가 공적자금 지원만으로 해소될지는 의문입니다. 무엇보다 과감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외환위기  때와 지금의 상황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강선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헌재/외환위기 당시 금융감독위원장 : 5개 은행에 대해서는 경영정상화 계획을 불승인하였습니다.]

11년 전 외환위기는 바로 은행의 위기였습니다.

마구잡이 기업대출이 부실로 이어지면서 80조 원이 넘는 공적자금을 수혈 받아야 했습니다.

서울·제일·상업·한일·조흥은행 등 당시 5대 은행은 모두 간판을 잃었고, 은행원들은 가혹한 구조조정의 대상이 됐습니다.

부동산 열기가 한창이던 2004년 중반부터 은행들의 몸짓불리기가 시작됐고 치열한 자산순위경쟁이 벌어졌습니다.

저금리를 무기로 부동산 담보대출과 부동산개발금융,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나섰습니다.
신용도가 떨어지는 자영업자 대출과 중소기업대출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97년 말 606조 원이던 은행의 총 자산규모는 1,856조 원으로 늘어 지난해 국민총생산의 배를 넘었습니다.

[신인석/중앙대 경영학과 교수 : 위험관리에 대한 경영진에 대한 인식, 안에 위험관리를 찾을 수 있는 인적인 자원의 능력 이런 면에서 아직 미흡한 게 있었던 것 같고 .]

경기침체와 부동산 가격 급락으로 이렇게 불린 자산은 결국 부실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국내 은행과 비은행의 운용자산 가운데 부실위험이 있는 자산은 348조나 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배상근/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단기적인 수익성에 집착해서 외화자금을 단기로 조달했고 무리하게 경쟁적으로 대출을 추진했던 결과로 건정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예금보다 많은 대출을 하면서 유동성 위기에 빠진 은행들은 지금 고금리로 시중자금을 빨아들이면서 자금난을 부추키고 있습니다.

과감한 구조조정을 통해 부실요인을 제거하고, 충분한 자본을 확충해줌으로써 은행 본래의 자금중개 기능을 복원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한 실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