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우리사회 위기극복, '믿을 수 있는 정부'가 관건

<8뉴스>

<앵커>

어느 사회든 위기는 찾아오게 마련이지만 이를 얼마나 잘 극복하느냐는 국민이 정부정책을 얼마나 신뢰하는가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국사회의 위험을 진단해보는 연속보도, 오늘(6일)은 마지막 순서로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살펴봅니다.

최희진 기자입니다.

<기자>

연초부터 위기론이 끊이지 않았던 지난 1997년.

당시 정부는 우리나라 경제가 안전하다는 주장을 되풀이 했습니다.

[강경식/당시 경제부총리(1997.10.27 국회 대정부질문) : 기초경제여건이 건실하고 동남아 국가와 같은 외환 금융시장 위기 상황으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3주일 뒤 외환위기는 현실화됐고 국민들은 정부의 안이한 대응에 크게 실망했습니다.

이른바 IMF 학습효과로 우리 국민들은 정부의 정책을 잘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우리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15개 평가 대상 기관 가운데 꼴찌인 국회보다 겨우 한단계 높았습니다.

이 때문에 국민들은 정부의 공식 발표 보다는 다른 정보를 더 신뢰하게 되면서 위기가 더욱 증폭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와 중국산 멜라민 함유 식품 파동에서 이런 문제가 단적으로 드러났습니다.

[조병희/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불안감의 밑바탕에는 어떤 신뢰라고 하는 게 밑바탕에 깔려 있는 겁니다. 신뢰가 없을 때 불안감이 증폭되는 것인데.]

실제 응답자의 57%가 정부가 위험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그렇다면 정부는 어떻게 신뢰를 회복할수 있을까?

[이재열/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 정부에서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이해를 구하는 그런 노력이 필요합니다.]

국민들은 더 이상 수동적인 정보 수용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하는 주체입니다.

정부가 이를 인식하고 있다고 국민들이 느낄 때 위험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