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만성신부전 환자 10년새 2배…절반이 '당뇨 탓'

<8뉴스>

<앵커>

혈액 투석에 의존해야 하는 만성신부전 환자가 10년 사이 두배 이상 늘면서 사회적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 가운데 절반 가량은 당뇨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상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0년째 당뇨를 앓고 있는 50대 환자입니다.

온몸의 혈관이 손상돼 백내장과 심장 수술을 받았고, 하나 남은 신장도 기능이 떨어져 이제는 인공투석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김정순/(58)만성신부전 당뇨 환자 : (투석을) 하고 나면 너무 힘이 들어서 그날 하루는 전혀 거동을 못하고 집에서 드러누워 있어야 될 정도로 그렇게 힘이 들어요.]

대한신장학회 조사 결과, 전국의 투석 환자는 최근 10년동안 2배 이상 늘어나 3만 8천명을 넘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새로 투석을 시작한 말기 신부전 환자의 절반 가량인 45%는 당뇨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뇨를 앓는 투석환자의 5년 생존율은 53.3%에 그쳐, 일반 투석환자보다 훨씬 낮았고 암 환자와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신장이식 대기환자도 매년 급증해 지난해 7천명에 육박했지만, 이식 건수는 오히려 줄고 있어 대책이 요구됩니다.

[진동찬/성빈센트병원 내과 교수 : 첫번째는 역시 혈당 조절을 잘 하셔야 되는데 운동요법, 식이요법 잘하시는것 당연하고요. 그다음에 혈당약 잘드셔야되고 필요하면 인슐린 치료가 반드시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당뇨로 온몸의 혈관이 손상되면 신장처럼 취약한 장기부터 기능이 망가져 결국 회복할 수 없게 되는 만큼 꾸준한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