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입식품 안전사고, 일 터질 때마다 '즉흥 대책'

<8뉴스>

<앵커>

수입식품에서 안전문제가 발생한 게 올해만 해도 한두번이 아닙니다. 문제가 터질 때마다 대책이 쏟아지지만 그때뿐인 경우가 많습니다.

김흥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지난 3월 노래방용 새우깡에서 발견된 생쥐 머리는 큰 충격이었습니다.

같은 달 미국산 야채가공품에서는 생쥐 한마리가 통째로 나왔지만 통관 과정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현재의 수입검사 체계로는 유해성분을 다 걸러내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정밀검사 비율은 전체의 20% 남짓, 수입식품의 70% 가까이가 간단한 서류검사만으로 통관됩니다.

[서갑종/식품의약품안전청 수입식품과장 : 들어올 때마다 100% 다 정밀검사하기는 어렵고, 앞으로 비율을 높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판단을 더 해봐야겠습니다.]

유해물질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생산과정에서의 안전관리는 더 허술합니다.

해태제과처럼 OEM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국내 업체들은 대부분 중국 공장에 안전 요원을 보내지 않습니다.

[식품업체 관계자 : 공장에 파견을 나가서 관리하는 것은 좀 어렵죠. 그런 규정도 없고….]

게다가 이른바 '보따리상'으로 불리는 영세상인들이 수입한 제품들은 유통경로파악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특히 즉흥적으로 내놓는 정부의 대책은 문제해결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올초 새우깡 생쥐 파동 이후 중국에 식약관을 파견하겠다던 발표는 몇 달 사이 없던 일이 됐고, 해외 공장 등록제를 실시하겠다던 계획도 진척이 없습니다.

[식약청 관계자 : 그 때 당시에는 파견하는 걸로 했는데 현지실사 제도를 활성화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해서 계획이 바뀌었어요.]

일이 터질때마다 남발되는 맹탕 대책으로는 식품안전사고를 막을 수 없습니다.

즉흥적인 대책이 아닌 지속가능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