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성적보다 잠재력' 입학사정관제, 어떤학생 뽑나

<앵커>

숫자로 드러나는 성적보다 잠재력과 학문에 대한 열정 등으로 학생을 뽑는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올해 처음으로 실시됐습니다.

어떤 학생이 선발됐는지, 우상욱 기자가 직접 만나봤습니다.



<기자>

7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들입니다. 

친구들이 성적에 매달릴 때 독특한 경력을 쌓았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조아라 양은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8년 동안 환경 운동 등 각종 봉사 활동에 5백 시간 넘게 참여했습니다.

[조아라/환경공학부 합격자 : 공부를 하다가 지치거나 어떤 삶에 있어서 힘이 들거나 할 때 봉사활동을 하게 되면 그런 힘들었던 것도 풀리고 스트레스도 풀리고 그렇게 해서 더 봉사활동을 찾게된 것 같아요.]

시골 마을 출신의 이의정 양은 남다른 관찰력과 과학에 대한 열정으로 주변 환경을 오히려 생명 공학의 배움터로 활용했습니다.

[이의정/생명공학부 합격자 : 저희 부모님께서 수박 농사를 지으시거든요. 또 주변에 풀들 많으니까 자연에서 자랐고 그러니까 과학 과목이 재밌어지는 거에요.]

양영경 양은 고등학교 3년 동안 학급 회장과 전교 회장으로 학생자치 활동을 이끈 리더십을 인정받았습니다.

[양영경/정치학과 합격자 : 학생들은 원합니다. 학교에다 얘기함으로써 내가 그 과정의 일부에 개입했는데 점점 그게 현실화 되어가는 모습에서 보람을 느꼈던 것 같아요.]

[문흥안/건국대 입학처장 : 대학이 얼마나 공정하고 책임성있게 이 제도를 운영하느냐의 문제지 학생 입장에서는 굉장히 좋습니다.]

대학 측은 이번 신입생들의 4년간 교육 성과를 추적해 분석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입학사정관 전형이 대입의 주류로 자리잡을 수 있을 지는 따라서 이들의 몫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