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빚더미에 오른 한국?…순채무국 전환 '초읽기'

<8뉴스>

<앵커>

우리나라의 회계 장부를 봐도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면 해외에 가진 채권보다 갚아야 할 빚이 더 많은 '순채무국' 신세로 전락할 처지가 됐습니다.

강선우 기자입니다.



<기자>

장단기 외채 가운데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외채를 유동외채라고 합니다.

지난 6월말 현재 이 유동외채가 2,223억 달러로 지난해 말보다 233억 달러나 늘었습니다.

현재 외환보유액과 불과 150억 달러 밖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대외채권에서 채무를 뺀 순대외채권 잔액도 2005년 1,207억달러에서 올 6월말 현재 27억 달러로 곤두박질쳤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올 하반기에는 2000년이후 8년만에 처음으로 순채무국 신세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외환위기 같은 급박한 상황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유병훈/한국은행 국제수치팀 차장 : 우리 외채상에 선박관련 선수금이 있습니다. 이건 전부다 선박수조가 완료가 되면 건조가 완료되면, 넘기면 외채가 줄어듭니다.]

그러나 순채무국이 될 경우 대외 신인도 하락이 우려됩니다.

[배민근/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 : 이자를 더 많이 줘야되니까, 그런 부담으로 돌아오고. 최근에 그런 재무적인 건전성이 나빠지고 있다니까 않좋은 상황으로 될 수 있을 것 같고.] 

다행히 원·달러 환율은 어제(27일)에 이어 소폭 하락했지만, 외국인의 매도로 코스피 지수가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는 등 환율 불안 요인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