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료 공정도 '엉망'…정부, 알면서도 협상에선?

<8뉴스>

<앵커>

어제(15일)도 보도해 드렸죠. 이런 문제점들은 우리 정부도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광우병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동물성 사료를 만드는 과정 역시 엉망이었습니다. 그런데도 협상에서는 일언반구 꺼내지 않았습니다.

김정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우리 정부가 미국의 동물성 사료 시설들을 점검한 뒤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한 사료 제조 업체는 "중간 수입상을 거쳐 들어온 원료를 광우병 위험 물질, SRM 구분없이 당일에 처리"해 정부 실사단의 지적을 받았습니다.

소의 뇌와 척수 등 동물용 사료로 금지된 SRM이 사료 원료로 쓰일 수도 있었다는 얘기입니다.

병들어 죽은 가축을 광우병 검사도 없이, 수의사의 진단만 받아 사료 원료로 쓰는 곳도 적발됐습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정부는 사실상 미국의 동물성 사료 제조 공정을 믿을 수 없다고 본 겁니다.

그런데도 정부는 지난 달 쇠고기 협상 과정에서 미국의 동물성 사료 강화 조치에 대해 어떻게 강화되는지 관심조차 없었습니다.

[박상표/국민건강을 위한 수의사연대 정책국장 : 이 보고서가 틀렸든지 아니면 협상단이 제대로 협상을 못했든지 둘 중에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이 부분에 대한 사실 규명은 규명을 정확하게 해봐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 정부가 30개월 이상 쇠고기를 받아들이는 조건이었던 미국의 동물성 사료 강화 조치는, 원안보다 크게 후퇴한 내용으로 공포됐고 1년이 지난 뒤에야 시행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