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IMF 이후 더 불안해진 노후…"은퇴가 두려워"

<8뉴스>

<앵커>

열심히 일만 하면 평온한 노년을 보낼 수 있을 거란 기대는 지난 10년새에 이제 먼나라 얘기가 된 듯 합니다. 연속 기획보도 IMF 그후 10년, 오늘은 우리의 노후 문제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심영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0년 동안 기대수명은 5살가량 늘어났지만 퇴직은 오히려 앞당겨졌습니다.

현직에 있는 사람들도 곧 맞이할 노년이 두렵습니다.

[우문희(37) : 딱히 노후를 설계하고 있는 부분은 없는 거 같아요. 보험 말고는. 굉장히 늦은 것 같고요, 걱정이에요.]

[정재풍(48) : 그 퇴직금 가지고 노후 걱정 안 하고 아이들 자식교육까지 시키는데 걱정 안 했어요. 근데 지금은 퇴직할 때 벌써 우리 어떻게 먹고살지? 이 궁리하고 있는데...]

노후를 대비하는 방법은 저마다 달랐습니다.

전문관리직과 사무직은 개인연금이나 펀드를 선호했고, 판매 서비스직은 암과 장애보험 가입률이 높았습니다.

비정규직과 임시·일용직은 정규직과 상용직에 비해 노후를 준비하지 못하는 비율이 훨씬 높았습니다.

3.40대가 50대보다 노후준비에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국민연금을 믿지 않았는데, 전문관리직에서 불신감이 가장 높았습니다.

[김학룡(46) : 차라리 연금 붓는 돈으로 매달 주식을 하나 사면 그것은 내꺼잖아요. 내가 내 노후를 책임질 수 있잖아요. 근데 국가에 넣어놓는 거는 밑 빠진 독에 뭐 물 붓기다.]

남성은 노후에 수발 받고 싶은 대상으로 배우자를 먼저 꼽았고, 사회시설과 자녀 순이었습니다.

그러나 여성은 배우자보다 사회시설을 더 원했습니다.

의지할 곳 없는 노후는 노인들의 높은 자살률로 이어집니다.

[김 모 씨(76) : 살기 고달프니까 그렇지. 생활비 안 대주고 물가도 비싸고 먹고살기 힘드니까 죽는 거지.]

성장과 복지 정책에 대해서도 직업이나 소득 같은 개인 처지에 따라 다른 태도를 보여 더 세분화된 정책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관/련/정/보

◆ 가족도 이젠 '쿨한 관계'…2007 가족의 재구성

◆ IMF 사태 10년…"불안한 사회에서 믿을 건 돈 뿐"

◆ IMF 기점으로 '부익부 빈익빈'…중산층이 없다

◆ SBSi 신개념 멀티뷰어 'Nview'로 SBS 뉴스 보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