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허술한 검증…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가짜박사'

<8뉴스>

<앵커>

결국 이번 일은 우리 사회의 검증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한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계기가 됐는데, 그냥 이대로 괞찮은 건지, 이대욱 기자가 짚어 봤습니다.

<기자>

가짜 외국 학위와 논문이 판을 치자 학술진흥재단은 지난해 4월부터 외국학교 논문 등록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졸업장과 논문만 내도록 하다가 학위증 사본과 출입국 기록, 성적증명서까지 제출하도록 한 것입니다.

하지만 심사를 담당하는 직원이 두 명 뿐이어서 매년 천 건 이상 쏟아져 들어오는 논문의 진위 여부를 가려내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학술진흥재단 담당 직원 : 서류 위조에 대한 문제, 법률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문제들은 한계가 분명히 있습니다.]

또 논문을 반드시 등록해야 한다는 강제규정도 없습니다.

대학의 학위 검증과정은 더 허술합니다.

신정아 씨 파문처럼 가짜 학위를 내세워도 걸러낼 장치가 사실상 없습니다.

[모 대학 관계자 : 접수단계에서 확인이 현실적 으로 불가능해요. 응모자가 서류를 제출하면 그걸 믿고..]

상아탑의 신뢰가 완전히 땅에 떨어지기 전에 지금이라도 자체 검증을 강화하자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독고윤/아주대 경영학과 교수 : 구글에서 학위논문을 치면 심지어는 불어 학위논문도 다 나오거든요. 일단 교수를 임용하는데, 전문가 의견 들어야 하는 것 아닙니까.]

하지만, 실력보다 간판을 중시하는 풍토 속에서는 제2, 제3의 신정아가 언제든 또 나올 수 있습니다.

[박 모씨/가짜 해외 박사 학위 취득자(지난해 9월 적발) : 박사 학위가 있는 사람들은 호칭이 박사님, 우리는 선생님, 이런 것 때문에 자존심이 상했고...]

학계의 자정 노력과 함께 이제는 우리 사회가 뿌리깊은 학벌 만능주의에서 벗어나야 할 때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