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따로 세종따로' 안된다…행정효율이 관건

<8뉴스>

<앵커>

세종시는 도시의 절반이 녹지일 정도로 국내에서 보기 드문 친환경 도시로 건설됩니다. 하지만 서울과 세종시로 나뉜 행정기능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지 난관이 적지 않습니다.

서경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세종시 면적은 297 ㎢, 경남 창원시와 비슷한 규모입니다.

중심에 흐르는 금강과 주변 산야를 그대로 살려 건설합니다.

기존도시와 달리 도시 중심부에 여의도 크기만한 녹지 공간을 조성합니다.

그 둘레를 따라 행정, 문화, 연구 등 6개 도시기능을 배치해 도심 교통체증을 줄이고 도시 전역을 20분 안에 연결한다는 계획입니다.

녹지율은 52%로 국내 최대, 주거밀도는 전국 최저의 친환경 도시로 꾸며집니다.

2010년 첫 마을 입주를 시작하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49개 중앙행정기관이 이전합니다.

이전 대상은 재정경제부, 건설교통부, 보건복지부, 국세청 등 12부 4처 2청이며, 외교통상부, 국방부 등은 서울에 남습니다.

청와대와 국회는 서울에 그대로 있고 행정기능은 서울과 세종시로 나뉘게 돼 행정효율을 어떻게 유지하느냐가 세종시의 성패를 결정할 관건입니다.

[남인희/행정도시건설청장 : IT기술을 이용해서 화상회의, 전자결제 등을 활용하면 큰 문제 없습니다.]

행정도시, 혁신도시 등 참여정부의 균형발전 전략에 공무원들이 얼마나 호응할지도 미지수입니다.

과천청사 공무원 5명 중 3명은 청사가 옮겨가도 기존 집을 팔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과천청사 공무원 : 가족이나 아이들 교육 문제가 있기 때문에 서울에 남겨놓고 출퇴근할 생각입니다.]

대선 결과에 따라 세종시 건설계획이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

[조명래/단국대 교수 : 정부가 바뀌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요. 그 사업이 좀 축소될 수도 있고 규모가 조금 더 어떤 면에서 보면 조정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기대 반 우려 반 속에 행정도시 건설의 대역사는 시작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