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뉴스>
<앵커>
북한이 밝힌 영변 핵 시설 폐쇄는 우선 원자로 안에 카드뮴으로 만든 제어봉을 넣어 작동을 멈춘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다음으로는 어제(14일) 북한에 들어간 국제원자력기구 감시 검증단이 2주 동안 봉인 작업을 하게 되는데요.
멈춰 세운 원자로의 통제센터나 연료봉 출입구 같은 곳에 철사를 이어서 만든 봉인을 달거나 아예 철판을 붙여 막아버립니다.
달리는 자동차 엔진을 끈 뒤 열쇠를 빼고 열쇠 구멍을 막아버리는 셈입니다.
이렇게 되면 일단은 북측 관계자들이 핵시설에 접근할 수 없게 됩니다.
하지만 언제든지 재가동할 수 있는 여지가 남게 됩니다.
따라서 핵시설을 다시는 쓸 수 없게 만드는 '불능화' 단계의 논의가 가장 중요한데요.
'불능화'는 연료봉을 빼낸 뒤 콘크리트를 붓거나 콘트롤 센터를 부숴버리는 등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또 핵 관련 프로그램을 6자회담 참가국에 낱낱이 공개하는 '핵 프로그램 신고'도 중요한데요.
다음 주 열리는 6자회담이 이 '불능화'와 '핵 프로그램 신고'를 다룰 첫 번째 자리가 됩니다.
김범주 기자가 이번 회담을 전망해봤습니다.
<기자>
불능화와 핵 프로그램 신고의 대가로 북한이 얻고자 하는 것은 크게 2가지입니다.
하지만 더 큰 것은 대북 경제제재의 근거가 돼 온 테러지원국 지정과 적성국 교역법 적용 을 풀어달라는 정치적인 요구입니다.
미국의 상응조치가 전제돼야 한다는 오늘 김명길 유엔 북한대표부 차석대사의 말도 같은 뜻으로 해석됩니다.
우리와 미국은 연말까지 이 과정을 모두 마무리짓기 위해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힐 미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는 6자회담에 앞서 우리와 이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오늘 도쿄를 거쳐서 서울에 도착했습니다.
미국측은 또 6자 수석대표회담 하루 전인 모레 베이징에서 북한과 첫 회동을 갖습니다.
그러나 최종 결론은 6자 외교장관 회담에서 내려질 전망입니다.
송민순 외교장관은 6자 외교장관 회담이 열리면 불능화와 그 상응조치의 합의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외교장관 회담은 다음 달 중순에서 9월 초 사이에 열릴 전망이어서, 앞으로 한 달 간 이 문제를 둘러싸고 숨가쁜 외교전이 펼쳐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