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당헌개정 효력정지"…제동 걸린 통합신당

여당, 충격속 대책마련 부심…신당추진·선도탈당·당해체 갈림길에

<8뉴스>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속도를 내던 열린우리당의 통합신당 추진이 큰 암초를 만났습니다. 이른바 당사수파 기간당원들이 낸 당헌개정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임으로써 다음달로 예정된 전당대회 개최여부가 불투명해졌습니다.

네, 열린우리당은 지금 충격속에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는데, 먼저 손석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남부지법은 열린우리당 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가 지난해 6월 현 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에 당헌 개정권을 재위임한 것은 위법하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의결 정족수인 중앙위원 2/3 이상의 찬성을 충족시키지 못해 무효라고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작년 11월 비상대책위원회가 당헌을 고쳐서 기간 당원제를 폐지하고 기초당원제를 도입한 것도 무효가 됐습니다.

법원의 결정이 나오자 열린우리당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김근태/열린우리당 의장 : 당에 대한 도전이고 난관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

김근태 의장은 긴급 지도부 회의에서 책임지고 자진사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가처분신청을 냈던 기간당원들도 기자회견을 갖고 비대위의 해산을 요구했습니다.

[김세종/열린우리당 기간당원 : 이번의 승리는 정치개혁에 매진해온 전체 당원의 승리이며, 민주주의 승리입니다.]

같은 시각 , 통합신당파와 당 사수파는 국회 곳곳에서 대책을 숙의했습니다.

이어진 비공개 의원총회에선 중앙위원회를 다시 열어 당헌을 고치는 방안과, 개정 전 당헌에 따라 기간당원제로 전대를 치르는 방안을 놓고 격론이 벌어졌습니다.

논란 끝에 당 지도부는 현 지도체제를 유지하면서 예정대로 다음달 14일 전당대회를 치르되, 중앙위원회를 다시 열어서 3분의 2의 찬성을 얻어 기초당원제로 당헌을 개정하기로 잠정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당내에 통합신당을 둘러싸고 갈등이 증폭되고 있어서 중앙위원회가 정상적으로 소집돼 당헌 개정을 할 수 있을지, 그리고 전당대회가 제대로 열릴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