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가게는 중소규모의 자영업소 가운데 매출액의 일정액을 사회복지 공동모금회를 통해 나눔을 실천하는 세상의 모든 가게를 일컫는 말입니다.
[가게의 수익금을 기부하고 싶으시다고요? 네, 착한 가게에 참여하실 수가 있습니다.]
매장을 경영하는 자영업자 또는 중소기업, 프랜차이즈, 학원, 병원 등 다양한 업종의 가게 모두 참여가 가능한데요.
규모와 종류는 다르지만 나눔을 실천하는 착한 마음만은 모두 같습니다.
[이민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 가게매출액의 일정액을 정기적으로 계좌이체를 통해 나눔을 실천할 수 있고 행사와 이벤트를 통해 수익금을 기부할 수 있다.]
사회복지 공동 모금회를 통해 나눔을 실천하는 착한가게로 등록이 되면 판화가 이철수 씨의 작품이 새겨진 착한가게라는 현판을 달아주는데요.
지난해 12월 시작된 이 착한가게가 1년 만에 60호점에 이른다고 합니다.
[방계화/자영업 : 어려움을 겪어봐서 조금이나마 나누고자 (착한가게에) 동참하게 됐는데, 현판까지 달아줘서 감사하다.]
프렌차이즈로 운영되고 있는 경기도 용인에 있는 어린이 전문 한의원은 모든 한의사들이 나눔 정신을 가지고 환자들을 진료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착한가게에 동참했다고 합니다.
지금 현재 몇 개 지점이 되진 않지만 신규지점이 생길 때 마다 착한가게에 가입하고 있습니다.
[이정균/한의사 : 환자를 치료해주고 얻는 이익보다는 환자를 대하는 태도와 환자를 대하는 마음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
[이지혜/경기 용인시 풍덕천동 : 착한 가게 간판이 있으니까 마음이 따뜻한 분이 치료해 주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
학생 한 명, 한 명의 수강료 의 일정액을 기부하는 유학원도 있습니다.
[이선오/유학원 대표 : (착한 가게)에 동참함으로써 기부문화를 정착하고, 수강생들도 수강료의 일부가 어려운 이웃에게 쓰여지기 때문에 의미 있는 공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소비 중심의 사회, 얄팍한 상흔, 날로 더해가는 향락 소비문화 중심에 이렇게 착한가게라는 이름으로 나눔이 시작된다면 머지않아 이땅에도 건전하고 사랑이 넘치는 소비문화가 정착되지 않을까요.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