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내 기술 수소연료전지 버스 '첫 선'

가격 현실화가 상용화 관건

<8뉴스>

<앵커>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된 수소연료 버스가 오늘(29일) 첫 선을 보였습니다.

수소 자가용을 탈 수 있는 날은 언제가 될런지, 박진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빠르지만 조용하게 달리는 대형버스.

가솔린 엔진 대신 전기모터가, 석유 대신 수소연료 전지가 동력입니다.

배기통에서는 공해 가스가 아니라 더운 수증기가 나옵니다.

세계에서 3번째로 국내 기술로 개발한 수소연료전지 버스입니다.

[김영삼/산업자원부 신·재생에너지팀장 : 일반 국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에도 이 기술이 적용되면서, 커다란 경제적·환경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내에서 수소 승용차 개발이 본격화된 것은 지난 2000년부터입니다.

수소연료차량의 기술적인 문제는 이미 대부분 해결됐습니다.

하지만 상용화의 필수조건인 경제성 확보 문제는 사실상 이제부터가 시작입니다.

연료 특성상 혹한 속에서는 시동이 안 걸리는 단점은 이제 영하 20도까지 향상됐습니다.

하지만, 한 번 충전해 갈 수 있는 주행거리가 여전히 짧고, 장치의 수명도 불과 3~4년으로 턱없이 부족합니다.

무엇보다 일반차의 20배 이상 비싼 제작비를, 대량 생산으로 얼마나 낮출수 있느냐도 과제입니다.

[유기호/현대·기아차 연료전지개발팀 : 앞으로 저가 경쟁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각자 고유의 기술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앞으로 어떻게 상용화 하느냐...]

한국과 미국, 일본 등 세계의 자동차 업체들은 모두 같은 고민을 안고 오는 2015년 상용화를 목표로 막판 경쟁에 돌입한 상태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