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여당내 정계개편, 방법 놓고 대분열

<8뉴스>

<앵커>

그제(25일) 치러진 재보궐선거 참패를 계기로 열린우리당을 바꿔야 한다느 내부 논의가 봇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이 거물급 정무특보를 대거 임명해 정치적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손석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대론 안된다는 위기감 속에 여당 상임고문단이 모였습니다.

재·보선 패배로 표류하는 당을 수습하고 정계개편 논의를 질서있게 하자는 취지였습니다.

그러나 이런 의도와 달리, 정계개편 방향과 당의 진로를 놓고 의견이 첨예하게 맞섰습니다.

[정대철/열린우리당 상임고문 :  지금 이대론 대선 선거를 치를 수가 없다. 민주 재야세력이 대통합을 이뤄야 한다.]

[신기남/열린우리당 상임고문 : 열린우리당은 희망이 없으니까 여기서 그만두고 밖에 나가서 살길을 찾아야 한다라는 주장에 대해서 저는 단호히 반대하고...]

당내 주요 계파들도 나름대로 방안을 모색하며 숨가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어제(26일) 저녁에는 당 중진과 중도성향 의원들이 각각 모인데 이어 오늘 밤에는 초선의원들이, 내일은 친노 의원들이 회동합니다.

현재 당의 진로에 대해선 크게 두가지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먼저, 헤쳐모여식 통합 신당론.

당을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민주당이나 고 건 전 총리 등과 연대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나 전당대회 시기와 방법 등에 대해선 의견이 크게 엇갈립니다.

이에 맞서 친노 의원들은 통합신당론에 반대하며 당 개조론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백원우/열린우리당 의원 : 단지 당이 어려우니까 지역간 결합을 하자는 것은 국민들에게 반드시 심판받을 수 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은 이해찬 전 국무총리와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 거물급 인사 4명을 정무특보에 내정했습니다.

청와대는 당정간 의사소통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향후 정계개편 과정에서 당에 대한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