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화재 도난' 해마다 5배씩 급증

<8뉴스>

<앵커>

우리 문화재 관리에 큰 구멍이 뚫린 것 같습니다. 문화재 도난 건수가 해마다 다섯배씩 늘고 있고 지난해에만 2천5백건의 문화재 도난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손석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3월 적발된 사상 최대 규모의 문화재 절도단.

훔친 문화재의 가격이 시가로 1백억 원이 넘습니다.

국보급 불화가 버젓이 경매장에 나왔다가 경매가 취소돼는 사태도 벌어졌습니다.

이렇게 도난당한 문화재는 지난 한 해에만 무려 2천531점.

지난 2003년 111점에서 재작년 519점에 이어 해마다 5배씩 급증하고 있습니다.

[박상준/조계종 문화재팀장 : 가장 많은 대상이 불화, 그 다음이 불상, 옮기기 용이한 것들이 도난이 많이 됐었죠.]

그러나 도난 방지 시설을 갖춘 곳은 극히 일부입니다.

조선 철종 때 제작된 목판 불경 3천여 장을 보관하고 있는 이 사찰은 올해까지 2억여 원을 들여 곳곳에 폐쇄회로 카메라와 적외선 감지기를 설치했습니다.

특히 이 사찰은 사람이 문화재에 접근하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설치 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보안시설을 갖춘 사찰은 전체 사찰의 10%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허술한 감독 체계도 문화재 도난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서울 종로구와 동대문구의 경우 140개가 넘는 문화재 매매업체를 공무원 단 한사람씩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고 판 기록을 남기지 않아도 처벌할 방법이 없는 현행 규정도 문제입니다.

[노웅래/열린우리당 의원(국회 문화관광위원회) : 문화재 매매가 신고제여서 도난 당하면 속수무책입니다. 허가제로 바꿔야하고, 거래내역 신고를 의무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국회는 장물인 줄 모르고 구입한 문화재라도 환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법 개정안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다룰 계획이어서 통과 여부가 주목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