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이어도 부근서 수중암초 발견해 '선점'

EEZ 선점 위한 '노림수'…영유권 문제 대책 시급

<8뉴스>

<앵커>

이어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제기했던 중국이 이어도보다 우리나라에 더 가까운 수중암초를 발견해 중국식 이름까지 갖다 붙인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배타적 경제수역 획정 과정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노림수로 보입니다.

이기성 베이징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 국가해양국이 지난 9월에 만든 중국 인근해역의 지형에 관한 책입니다.

중국은 이 책자에서 지난 99년부터 2002년까지 3차례에 걸쳐 제주도 부근 해역을 탐사하고 측량한 결과, 수중암초 하나를 발견한 사실을 밝혔습니다.

제주도에서 남서쪽으로 200km, 상하이에서 북동쪽으로 335km 떨어진 해역에 위치한 이 암초에 중국은 '딩얜'이라고 이름까지 붙였습니다.

이어도에서 동북쪽으로 4.5km 떨어져 있어 이어도보다 우리나라에 더 가깝습니다.

이 암초는 길이가 390m, 너비 220m의 기다란 말 안장 모양을 하고 있고 얕은 곳은 수심이 26m입니다.

최근 이어도의 영유권에 대해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중국이 인근 해역의 수중암초를 선점한 것은 배타적 경제수역 협상과정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우리가 방심하고 있는 사이 중국은 치밀한 준비를 통해 역사왜곡은 물론 영유권 문제에서도 앞서나갈 논리를 개발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