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심층] 포항 건설노조 파업 '더 깊어진 골'

<8뉴스>

<앵커>

포항 전문 건설 노조가 76일 째로 접어들었습니다. 어제(13일) 노사 잠정합의안이 마련되면서 해결에 기대감이 커졌지만 결국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돼고 말았습니다.

남달구 기자입니다.

<기자>

포항 전문 건설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간 것은 지난 6월 말.

임금인상과 토요 휴무제 도입 문제에서 노사가 합의를 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우여곡절 끝에 마련됐던 노사 합의안은 어제 조합원 찬반 투표에서 반대 64.5%로 부결됐습니다.

[최규만/포항건설노조위원장 대행 : 찬성 34.7%, 반대 64.5%.]

'조합원 우선 채용 원칙'에서 '조합원이라는 이유로 차별하지 않는다'로 바뀌면서 고용불안 심리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노조는 파업투쟁을 계속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최규만/포항 건설노조위원장 대행 : 저희들은 앞으로 더 강경한 투쟁을 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원만한 합의로 새출발을 기대했던 포항시민들은 한마디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경기불황과 장기 파업이 겹치면서 지역경제의 주름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경미/포항 죽도시장 상인 : 토요일 일요일 빼고는 손님이 전혀 없어요. 장사도 안되고.]

[이상곤/포항시발전협의회 사무국장 : 노사 이미지가 나빠지면서 기업이 포항을 외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파업이 해결되지 못해서 너무 가슴이 아픕니다.]

지역 전문 건설업체들은 석달째 공사를 하지못해 부도위기에 처했습니다.

노조원과 가족들도 지금까지 3백여억 원의 노임을 받지 못해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노사가 서로 협상의 문을 열어 놓고 있다지만 타결 전망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노조를 상대로 한 포스코의 손해배상 소송과 출입 제한 조치, 구속된 노조간부 처리문제 등 문제점이 산적해 있기 때문입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경제계와 시민 사회단체, 국회의원, 노사 대표 등으로 중재단을 구성해 하루빨리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