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 경수로 청산비용 한국 부담" 논란

전체 경수로 비용 70%에 청산비용까지 전액 부담…논란 예상

<앵커>

지난 94년 북미간 제네바 합의에 따라 추진해오던 북한내 경수로 사업이 오늘(1일)로 공식 종료됐습니다.

자세한 소식, 뉴욕에서 박성구 특파원이 보도해 드립니다.

<기자>

KEDO, 즉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는 오늘 뉴욕에서 집행이사회를 열고, 북한 신포경수로 사업의 중단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지난 94년 북미간 제네바 합의에 따라 추진해온 경수로 사업은 북한 핵문제가 불거지면서 표류한 끝에 11년 반 만에 결국 중도하차하게 됐습니다.

[박병윤/KEDO 사무차장 : 북한이 핵확산금지 관련 국제 협약 그리고 다른 협정들을 위반했기 때문에 저희들이 2년간 기다리다가 이번에 할 수 없이 경수로 사업을 중단하게 된 것입니다.]

KEDO는 특히 경수로 사업의 주계약자인 한국전력이 청산비용을 전액 부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청산 비용으로는 1억 5천만 달러에서 2억 달러가 예상됩니다.

대신 북한 지역 밖에서 만들던 모든 경수로 기자재를 한전이 인수하도록 했습니다.

[박병윤/KEDO 사무차장 : 한전에게 주는 권리와 서로 거의 상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민들이 추가로 부담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경수로 기자재가 신포 현지에 맞게 제작된 것이어서 재활용하거나 외국에 수출하기는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전체 경수로 비용의 70%가 넘는 11억 4천만 달러를 부담하고, 청산비용까지 짊어진 셈이어서 향후 논란이 예상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