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초등학생 '전자명찰' 사생활 침해 논란

<8뉴스>

<앵커>

초등학생들의 안전한 귀갓길을 돕기 위해 전자명찰이라는게 일부 학교에서 도입됐는데, 일부 학부모단체가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심영구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

수업을 마친 학생들이 감지기에 명찰을 갖다댑니다.

곧바로 부모 휴대전화에 문자메시지가 도착합니다.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된 어린이 안전관리 서비스입니다.

등하교 시간 통보와 교통상해보험, 그리고 교육콘텐츠 등을 월 3천 원에 제공합니다.

서울의 초등학교 16곳이 시행중이고, 15곳은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경남/학부모 : 못 믿어서가 아니라, 좀 험하니까 세상이... 제대로 도착했는지 어쨌는지 진짜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전은영/학부모 : 굳이 그럴 필요까지 있나 싶어요. 애들이야 금방 집에 오고 그러는데, 감시하는 것 같기도 하고.]

참교육 학부모회 등 일부 시민단체는 학생 사생활까지 통제하겠다는 발상이라고 비판합니다.

[시민단체 : 자식을 믿지 못하고 한낮 플라스틱 바코드 단말기와 핸드폰을 더 믿게 하는 세상이 진정 학생 안전을 보장해줄 수는 없다.]

찬반 논란 속에 서울시 교육청은 전자명찰 도입 문제는 각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