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집중]노는 토요일, 방치되는 아이들

첫 '학교 노는 토요일' 맞아 준비 미흡 지적

<8뉴스>

<앵커>

주 5일제 수업이 월 2회로 확대된 뒤 첫 토요일을 맞았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여러가지 프로그램이 준비됐지만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았습니다.

정형택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늘은 수업이 없는 토요일.

하지만, 아이들이 교실에 모였습니다.

선생님을 따라 풍선을 이리저리 만지더니 이내 강아지를 만들어 냅니다.

한쪽에선 신나는 음악에 맞춰 스포츠 댄스 수업이 진행됩니다.

[김지희/초등학교 5학년 : 집에서 심심하게 있는 것보다 여기서 재미있게 노는 게 더 좋아요.]

주5일제 수업에 맞춰 일선 학교들이 준비한 '토요 교실'입니다.

그러나 이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학교는 극히 일부고 대부분 학교는 오늘 문을 닫았습니다.

[장은숙/참교육을 위한 학부모회 사무처장 : 프로그램도 너무나 부족하고 주로 학습 위주로 짜였다는 비판이 있어요.]

대신 사교육 시장은 발 빠르게 주말반을 편성하고 공교육의 빈틈을 파고들고 있습니다.

맞벌이 가정과 저소득층 자녀는 사실상 방치되고 있습니다.

국립 박물관과 청소년 수련관이 개방됐지만 별도 프로그램이 없어 갈 곳은 많지 않습니다.

[초등학교 3학년 : (차라리) 학교 가면 재미있고 신나고 좋은데... ]

교육당국도 사회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신원재/교육인적자원부 교육연구관 : 범사회적으로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해서 아이들이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을 계속 만들어 나갈 예정입니다.]

790만명 초·중·고생과 학부모들이 한달에 두번씩 겪게 될 쉬는 토요일, 이들을 위한 세심한 대책이 시급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