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반도 평화정착' 선언

<8뉴스>

<앵커>

올해는 무엇보다도 한반도의 평화 문제가 우리 사회의 핵심적인 화두가 될 것 같습니다. SBS는 오늘(1일)부터 한반도 평화 정착의 가능성을 점검하는 기획시리즈를 마련했습니다.

오늘 그 첫번째 순서로, 북핵문제로 진전을 이룩해 한반도에 평화정착을 선언한다는 정부의 야심찬 구상을 허윤석 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광복 60년, 남북정상회담 5주년.

화해와 교류협력의 물꼬는 터졌지만 이 곳 전방에서의 군사적 대치상황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올해를 '한반도 평화정착의 해'로 정하고 여건 마련에 주력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특히 아시아-태평양국가 정상들이 참석하는 오는 11월 부산 APEC 정상회의에서 '한반도 평화정착 선언식'을 갖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6자회담 재개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한 다음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국제사회에 공개 선언한다는 방안입니다.

물론 북한이 먼저 명확한 핵폐기의사를 밝히는 것이 전제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의 거듭된 부인에도 불구하고, 군비통제와 평화정착을 논의하는 남북정상회담의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고유환/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2차 정상회담을 계기로 해서 한반도의 긴장완화와 평화정착과 관련한 남북정상회의 선언이 있게 되면 평화와 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5년전 남북 정상회담이 실질적인 교류와 경제협력의 문을 열었다면, 두번째 정상회담은 실질적인 남북 평화 공존의 무대를 마련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문제는 북한의 태도입니다.

북한은 오는 20일 부시 미국 대통령의 취임이후 새로운 대외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망됩니다.

결국 올 한 해는 그 어느 때보다도 남북관계의 실질적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