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집중]단체 생명보험, 누구 위해 가입?

<8뉴스>

<앵커>

사원들의 갑작스런 사고에 대비해 회사가 들어둔 단체 생명보험이란 게 있습니다. 그렇다면 종업원이 숨졌을 때 보험금을 누가 더 많이 받아가야 옳을까요? 보험수익자가 회사로 돼있다면 보험금 대부분을 태연히 챙긴 회사가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최대식 기자의 취재입니다.

<기자>

직장인 신민훈씨는 지난 1월 교통사고로 어머니를 잃었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고통이 슬픔에 휩싸인 신씨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신씨 어머니의 사망으로 단체 생명보험금, 5천만원을 지급받은 어머니의 전 직장이 정작 유족들에게는 5백만원 밖에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신민훈/유가족 : 만약에 저 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도 사망하셨을 경우에 사장님이 돈을 버시는 그런 결과 밖에는 안 되잖아요.]

회사측의 입장은 단호합니다.

보험 수익자가 회사로 돼 있는 만큼 위로금을 얼마나 주느냐는 전적으로 회사가 결정할 문제라는 것입니다.

[회사대표 : 도의적으로 최선을 다해 도와줄 수 있는 부분까지는 도와주는 거니까... 결과적으로 본인은 10원도 돈을 안냈어요. ]

단체보험은 많은 종업원들을 피보험자로 해서 비교적 싼 보험료로 일괄적으로 가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이처럼 수익자를 누구로 하느냐에 따라 엉뚱한 상황이 발생하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수익자를 회사로 할 경우 종업원의 사망으로, 고용주가 보험금을 받는 기막힌 일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단체보험은 전체 생명보험 계약의 1/3 정도, 계약건수는 384만건, 보유계약 금액은 45조 천억원에 이릅니다.

[강신욱/자동차보험연합 사무총장 : 종업원 복리증진이라는 원래의 목적상 보험료를 회사가 냈더라도 보험금은 종업원이나 유족이 가지는 것이 타당합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단체보험은 수익자를 종업원으로 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하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절망하고 있는 유가족 앞에 엉뚱한 사람이 득을 보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도 수익자를 피보험자 또는 상속인으로 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