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쌀 재고 위기, 대책 마련 제자리

<8뉴스>

<앵커>

남아도는 쌀, 정부의 대책이 시급해졌습니다. 쌀 생산을 무턱대고 줄일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어떤 해법이 있을 지 김선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쌀증산 정책의 포기는 지금의 쌀문제가 생산량이 많은데서 비롯됐다는 인식 때문입니다. 하지만 쌀생산을 줄일 경우 지금의 농가의 수입을 유지시킬 대책이 현재로서는 없습니다.

전체 벼 재배 면적 가운데 1%인 만헥타만 벼재배를 포기하고 다른 작목으로 전환하려고 해도 경제성있는 대체작목이 사실상 없습니다.

배추 재배의 경우 전체 면적 4만헥타에 만헥타가 더해지면 가격폭락은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정부가 품질우선 정책을 밝히고 있지만 아직까지 양질의 쌀이 대접받을 시장이 갖춰져 있지 않습니다.

{이태호/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쌀의 맛을 평가할 수 있는 그런 객관적인 기준도 없을뿐더러 그 미질에 맞게 재배하는 방법 또 유통 방법, 이런 것들이 지금 현재 안 돼 있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걸려야 이런 것들이 확립되리라고 생각이.."

더구나 식량자급도가 30%에 불과한 상황에서 전세계적인 식량기근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는 대책이 없습니다.

이에 따라 무조건 쌀증산을 포기하기 보다는 친환경 농법의 확대나 소비를 늘리는 방법 등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40만평의 논에 오리를 이용해 경작되는 친환경재배 쌀은 농협 수매가격보다 무려 50% 이상 높은 가격에 전량 팔려나가고 있습니다.

{천세환/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제가 한1만 1000평 정도 하고 있는데 작년에 해보니까 한 7, 800만원 이상 소득이 더 나오더라고요.."

한때는 4천2백만석을 기록하던 쌀생산량이 지금 3천8백만석인데도 재고가 넘치는 이유는 급격한 쌀소비 감소 때문인 만큼 쌀소비량을 늘리는 방법이 가장 시급한 해결책입니다.

또한 휴경논에 대한 보상과 직접지불제 등 농업소득을 보전하는 실질적인 대책이 쌀증산 포기에 앞서 우선 해결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