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강원도 고성에서 북한 남성이 헤엄쳐서 귀순한 사건에 대한 합참의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총체 적인 경계실패였습니다. 감시 장비에 포착되고도 놓친 것은 당초 알려진 3번이 아닌 8번이었고 그것도 두 차례는 경고음까지 울렸습니다.
김태훈 국방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6일 새벽 1시 5분, 겨울 바다 10km를 6시간 헤엄쳐온 북한 남성, 합참 조사 결과 이 남성은 해안철책을 따라 걸으며 군 감시망에 8번 포착됐지만 무사통과했습니다.
군 감시 카메라에 5번, 이후 7번 국도 CCTV에도 3차례 찍혔습니다.
이 가운데 2번은 소초 상황실 감시 모니터에 경고등이 뜨고 경고음까지 울렸지만 장병들이 장비를 꺼버렸습니다.
바람이나 작은 동물 움직임에 반응하는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오작동한 것으로 본 것입니다.
[서욱/국방장관 (어제, 국방위) : 그것(경고 팝업)이 말씀하신 대로 자주 뜨니까 아주 자세히 보면 보이지만 자세히 안 보면 특별한 문제 없고 강풍에 뜨는 팝업이려니 하고 내린 걸로.]
지난해 7월 탈북민 월북 사건 이후 전수 조사하겠다던 배수로 관리도 엉망이었습니다.
남성이 통과한 해안 철책 아래쪽 배수로는 해당 부대 관리 목록에서 아예 빠져 있었습니다.
귀순자인데 바로 투항하지 않고 군 초소를 피해 다닌 이유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서욱/국방장관 (어제, 국방위) : '군 초소에 들어가서 귀순을 하면 나를 북으로 다시 돌려보낼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합참은 뚫릴 때마다 내놓는 과학화 경계시스템과 배수로 보완을 이번에도 대책으로 발표했습니다.
과거 사단장 보직해임이었던 징계 수위와 규모가 이번에는 어떨지도 지켜볼 일입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