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요즘 대기업들 사이에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스타트업과 협업하거나 아이디어를 공개 모집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선 공공기관들도 이런 방식을 활용하는 추세라고 하는데, 어떤 모습인지 노동규 기자입니다. 
  
 
  
 <기자> 
  
 
  
 한 디스플레이 대기업의 전시공간입니다. 
  
 
  
 디스플레이를 TV 패널 말고도 생활공간 곳곳에 적용할 수 있을지 여러 아이디어를 타진해보려고 만들었습니다. 
  
 
  
 운동 콘텐츠를 만드는 이 스타트업은 침대 발치에서 나오는 화면에 홈 트레이닝용 콘텐츠를 넣는 걸 제안했습니다. 
  
 
  
 [이게 나오면서 자명종을 울리고, 바로 요가나 스트레칭 과정이 나오면….] 
  
 
  
 스타트업으로선 대기업과 상품화하는 경험 자체가 경쟁력이 됩니다. 
  
 
  
 [여주엽/운동 콘텐츠 개발업체 대표 : (스타트업은) 유통 채널이 없어서 사업화가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대기업과 협업해서 판매 채널을 갖게 된다는 거는 저희한테는 큰 기회죠.] 
  
 
  
 대기업으로서도 창업 초기 기업들의 젊고 유연한 생각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김민규/디스플레이 업체 사업개발팀 : (대기업은) 톱-다운 의사결정이 좀 느린 곳인 데 반해, (스타트업은) 민첩성과 사업이 돌아가는 방향이 빨라서 대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대기업이 기술과 아이디어 개발에 외부를 참여시키는 공개 협업, '오픈 이노베이션'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도 도입하는 추세인데 최근 코트라는 사업 디지털화를 위한 공개 협업 응모 행사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박필재 팀장/한국무역협회 스타트업 글로벌지원실 : '디지털 전환' 자체가 큰 화두가 돼 혁신기술에 대한 갈증이 굉장히 심해요. (공개 협업을) 안 하면 경쟁사가 더 먼저 하죠. 시간과 노력을 아끼기 위해서 하는 거예요, 결국에는.] 
  
 
  
 미국 포브스지가 선정한 500대 기업 가운데 상위 100곳의 스타트업 연계율은 하위 100개 업체에 비해 2배에 이릅니다. 
  
 
  
 업종과 규모를 불문한 협업, 기업 혁신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