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노래 부르는 자신의 모습이 광고에 쓰이고 있어서 이를 내려달라고 항의했지만 몇 달째 아무런 소식이 없다는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노래 부르면서 짧은 영상도 찍을 수 있는 외국 앱을 이용했다가 생긴 일입니다. 
  
 
  
 보도에 전연남 기자입니다. 
  
 
  
 <기자> 
  
 
  
 노래가 취미인 A 씨는 코로나19로 노래연습장 가기가 쉽지 않자 음악 관련 앱을 자주 사용합니다. 
  
 
  
 반주에 맞춰 노래 부르는 모습을 찍어 앱을 통해 올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 8월 자신이 올린 영상이 해당 앱 광고로 사용되고 있는 걸 알게 됐습니다. 
  
 
  
 허락하지도 않았는데 나도 모르게 만들어진 광고 때문에 댓글 피해도 입었습니다. 
  
 
  
 [A 씨/노래 앱 사용자 : (앱 이용해) 취미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모든 지인들한테 지금 연락이 오고, 악플 같은 거 달렸을 때 저 진짜 죽고 싶었어요.] 
  
 
  
 누적 다운로드 횟수가 1억 회가 넘는 이 앱 운영업체는 미국에 있었습니다. 
  
 
  
 광고를 내려달라는 메일을 영어로 써서 여러 차례 보냈지만 넉 달 동안 회신 확인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결국 법적 대응을 결심한 A씨는 이용약관을 살펴보고 더 놀랐습니다. 
  
 
  
 사용자 영상을 무단으로 마케팅과 홍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놓은 건 물론, 법적 문제를 제기하려면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법원을 찾으라고 적혀 있었던 것입니다. 
  
 
  
 가입 당시에는 영어로 된 약관을 제대로 살피지 못했습니다. 
  
 
  
 [신하나/변호사 : 사용자의 콘텐츠를 이 회사가 함부로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놨다는 것이죠. 소비자의 허락을 요구하지 않아요, 약관에 동의만 하면. 우리 약관법에 따르면 해당 조항 역시 무효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 법원이나 공정거래위원회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해도 해외 기업을 상대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김승주/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해외 앱에) 국내법을 따르라고 강제성을 부여하기가 굉장히 어려워요. 직접적인 제재를 가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지금은 사용자가 조심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상당수 앱이 국경을 초월해 운영되고 있는 만큼 사용자 보호를 위한 국제 공조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