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김해 신공항이 백지화되면서, 정치권은 발 빠르게 가덕도 신공항 얘기를 꺼내고 있습니다. 이제 공은 정부로 넘어왔는데, 가덕도가 4년 전 평가에서 꼴찌를 했던 후보지라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화강윤 기자입니다.
<기자>
국토부는 최근까지도 김해 신공항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혀왔습니다.
또, 검증위원회가 김해 신공항을 백지화한다 해도 바로 가덕도 안이 추진되는 건 아니라는 입장이었습니다.
[김현미/국토교통부 장관 : 수요조사부터 원점 검토를 시작해야 되는데 그럴 때는 대상지역을 열어놓고 시작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검증위의 발표 직후에는 "후속 조치를 서두르겠다"는 입장 외에는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여권이 특별법까지 거론하며 가덕도 신공항을 기정사실화하고 있지만, 4년 전 프랑스 전문기관 평가 당시, 건설 비용도 가장 비싸고 평가점수도 가장 낮았던 가덕도 안을 절차를 밟지 않고 정부가 수용하긴 무리가 따릅니다.
[장 마리 슈발리에/ADPi 수석연구원 (지난 2016년) : (가덕도는)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그리고 건설 자체도 어렵습니다.]
입지 선정을 비롯해 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 계획 수립 등의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하는데, 정치권의 압박을 버틸 수 있을지 회의적이라는 얘기가 이미 정부 내부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예산낭비 논란, 지역대결 등 사회적 비용 지출도 불가피해졌습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10조 가까운 어마어마한 예산이 드는데 그냥 정치적인 분위기에 편승해서 결정을 낸 것이기 때문에 이 정부 최악의, 4대강처럼 가장 잘못된 국책 사업의 선택이 되지 않을까….]
수많은 지방공항이 적자에 허덕이고 있고, 코로나 사태로 항공수요가 언제 회복될지 여전히 불투명한데도, 대형 공항 건설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절차적, 논리적 정당성은 실종되는 분위기입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