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탈북자가 한강을 헤엄쳐 다시 월북한 과정을 조사한 우리 군이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1시간 15분 동안 감시장비에 7차례나 찍혔지만 누구도 월북 사실을 몰랐습니다.
김태훈 국방전문기자입니다.
<기자>
강화도 연미정 근처 해안가에 택시를 타고 도착하는 25살 탈북자 김 씨의 남한 내 마지막 모습입니다.
김 씨는 철책 밑 배수로를 이른바 개구멍처럼 월북 통로로 이용했습니다.
배수로에는 철근들이 창살처럼 박혀 있지만 보통 체격 성인이 드나들기에도 충분한 간격입니다.
그 뒤로 설치된 철조망 역시 낡고 훼손돼 장애물 역할을 하지 못한 걸로 합참 조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김 씨가 18일 새벽 2시 46분쯤 배수로를 무사통과한 뒤 헤엄쳐 북한 탄포 지역에 도착할 때까지 약 75분 걸렸는데, 이 과정에서 근거리와 중거리 감시 카메라, 열상감시장비에 7번이나 포착됐지만, 근무자 중 누구도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역설적으로 북한 보도가 없었다면 무용지물 감시 장비와 무사통과 배수로는 두고두고 월북, 월남 루트가 될 뻔했습니다.
[김준락/합참 공보실장 : 배수로 등 경계 취약 요소에 대해 즉각 보강하고, 감시 장비 운용 최적화 및 운용 요원에 대한 전문성, 숙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군은 지휘 책임을 물어 해병대 2사단장을 보직 해임, 해병대 사령관과 수도군단장은 엄중경고하기로 했고 경찰은 탈북자 관리와 사건 처리가 미흡했다며 김포 경찰서장을 대기 발령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