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가 비상계엄 수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채 해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에 대해서 다시 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피의자로 입건된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만큼 수사에 속도가 더 붙을 걸로 보입니다.
이 내용은 조윤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1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채 해병 순직 수사 외압 사건과 관련해 국방부와 해병대 사령부를 압수수색 했습니다.
이후 핵심 피의자인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등을 차례로 소환했지만, 12·3 비상계엄 수사에 전 인원이 투입되면서 채 해병 사건 수사는 사실상 중단됐습니다.
[이재승/공수처 차장 (지난해 12월 9일) : 공수처는 12월 3일 비상계엄이 발생한 직후 바로 수사에 착수했고, 사실상 공수처 인력 전원을 가동하여 수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년 넘게 수사에 진전이 없었던 셈인데, 공수처 관계자는 오늘(8일), "비상계엄 사건 수사가 정리되는 대로 잠시 멈췄던 채 해병 관련 사건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계엄 관여자들 처분이 끝나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 사건이 정리되면 채 해병 수사를 병행해서 진행하겠단 겁니다.
공수처는 해병대 수사단이 채 해병 순직 사건을 경찰에 이첩하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외압을 행사했다고 보고 피의자로 입건한 상태입니다.
공수처가 채 해병 수사를 다시 시작하면 윤 전 대통령을 소환할 거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군인권센터는 윤 전 대통령이 증거를 인멸할 수 있다며 신속한 구속수사를 촉구했습니다.
[김형남/군인권센터 사무국장 : 외압의 수괴, 격노의 당사자가 대통령직에서 파면되었다. 이제 불소추특권도 없고, 국가안보를 운운하며 수사를 회피할 방도도 없다.]
앞서 1심 법원이 항명 등 혐의로 기소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무죄를 선고한 만큼 윗선을 향한 공수처 수사가 속도를 낼 거라는 예측도 나옵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김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