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한 백브리핑 : 딥빽', 복잡한 국제 이슈를 김혜영 기자가 쉽고도 깊이 있게 설명해드립니다.
핵 비확산 기조에 역행하는 '가진 자들'
푸틴ㅣ러시아 대통령 (9월 25일)
핵보유국의 참여 또는 지원을 받은 비핵보유국의 공격은 러시아에 대한 공동 공격으로 간주돼야 합니다.
우크라이나가 미국이 제공한 장거리 미사일로 러시아 본토를 타격하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자신의 경고를 실제 핵 교리 개정으로 현실화했습니다. 핵보유국의 지원을 받는 비핵보유국에도 핵을 쓸 수 있도록, 핵무기 사용 조건을 완화한 겁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ㅣ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 (11월 19일)
우리의 핵 사용 원칙을 현 상황에 맞춰 개정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ㅣ러시아군 총참모장 (12월 18일)
미국이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유럽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구축하면서 전략적 공격 무기 경쟁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핵무기를 줄여야 한다는 '핵 비확산' 기조에 역행하는 건, 러시아뿐만이 아닙니다. 앞서 저희가 전해드렸듯이, 미국, 중국과 북한도 핵무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원래 미국과 러시아는 매년 정해진 시기에 자신들이 보유한 전략 핵탄두 수 등을 대중에 공개해 왔는데, 현재 이들 국가는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그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특히 오는 2026년 2월 이후의 상황을 우려하고 있고, 그래서 그 어느 때보다 미국 대통령 당선인 트럼프와 러시아 대통령 푸틴, 이 두 정상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유일한 '핵무기 통제' 협정, 2026년 종료... 핵 질서 붕괴 막으려면
이 협정은 이미 지난 2021년에 한 차례 5년 연장이 됐기 때문에 2026년 2월에 시한이 만료되면 추가로 재연장이 되지 않습니다. 더 이상 군축 협정은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즉, 시한 만료 이후에 아무런 다른 협정이나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더 이상 핵 확산을 통제할 조약이 없는, 새로운 핵 질서의 세계로 들어서게 되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미국 대통령 당선인 트럼프와 러시아 대통령 푸틴, 두 정상이 일종의 정치적 합의라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대릴 킴볼ㅣ미 군축협회(ACA) 이사
우리는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그의 선택이 어떤 상황들을 더 악화시켰다는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긍정적인 가능성도 있습니다. 트럼프와 푸틴은 신전략무기 감축 협정이 설정한 한도를, 협정 만료 후에도 계속 준수하겠다는 간단한 합의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미국과 러시아의 무기고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협정을 위한 협상 시간을 제공할 것입니다.
헨리 소콜스키ㅣ미 비확산교육센터(NPEC) 소장
트럼프 행정부가 이 협정을 연장하는 데 이점이 있다고 판단할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트럼프 측 참모들은 이 협정을 연장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 확고합니다.
트럼프·푸틴, 정치적 합의 시 '중국 견제' 등도 포함해야
대릴 킴볼ㅣ미 군축협회(ACA) 이사
중국은 작지만 여전히 치명적인 핵무기의 규모를 늘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협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특히 미국과 러시아의 무기고를 제한하는 협상이 없다면, 세 나라 간 핵무기 경쟁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중국이 과거 미국과 러시아의 전략무기 보유 규모에 못 미친다는 이유로 군비 통제의 대상에서 제외돼 왔는데, 지금은 그 어느 나라보다 핵무력 증강 속도가 빠릅니다.
이춘근ㅣ과학기술기획평가원 초빙전문위원
신전략무기 감축 협정에서 빈 영역이 중국이죠. 중국이 그 틈새를 노려가지고 확장을 했기 때문에 중국이 포함되지 않는 비확산 조약이라는 것이 커다란 의미가 없다... 중국이 전술핵 분야에서 중거리 탄도미사일 이하의 사거리가 짧고 사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서 핵탄두 수량이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보죠.
헨리 소콜스키ㅣ미 비확산교육센터(NPEC) 소장
미국은 중국을 압박하기에 충분히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더 강하게 밀어붙여야 하며, 트럼프 행정부 아래에서 그런 적극적인 외교가 사용되기를 희망합니다.
전문가들의 제안은... "한국 등 비핵국가도 참여하는 정상회의체 만들어야"
대릴 킴볼ㅣ미 군축협회(ACA) 이사
기존 협의체들은 합의가 필요하다는 규칙 때문에 교착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1~2개국이 매우 상식적인 협상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의 제안은 3~4년마다 고위급 핵 군축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입니다.
많은 핵 비확산 전문가들은 주요 핵보유국들의 움직임만큼이나, 비핵국가들의 핵 보유 시도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고 또 우려하고 있습니다.
대릴 킴볼ㅣ미 군축협회(ACA) 이사
이란의 새 대통령 페제시키안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이견을 해결하고 긴장 완화를 위해 미국과 외교적으로 협력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이스라엘이 이란의 시설을 군사적으로 타격하더라도, 이란의 핵 지식을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헨리 소콜스키ㅣ미 비확산교육센터 (NPEC) 소장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같은 나라들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면 튀르키예와 다른 나라들도 핵무기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한국과 일본이 핵무장을 시도한다면) 한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 국가가 나올 것입니다. 그 세 번째 나라는 호주일 수도 있습니다. 이란 문제가 확산된다면, 사우디아라비아뿐만 아니라 튀르키예, 이집트, 알제리까지도 핵 문제에 다시 얽히게 됩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