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화성 화재' 그 후 부랴부랴 공장 점검…현황 파악도 미흡

<앵커>

화재 이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리튬 배터리 공장이 안전한지 부랴부랴 점검에 나섰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불이 난 곳과 같은 업체들의 현황을 정부가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서, 다 확인하기까지는 시간이 꽤 걸릴 걸로 보입니다.

이 내용은, 김덕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제주의 한 리튬 배터리 재사용 업체입니다.

소방 당국이 합동으로 소화 설비와 비상 대피로 확보 여부 등 안전 관리 실태를 살핍니다.

200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고 있는 이곳은 금속 화재용 소화기가 비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불이 나면 대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김창수/제주 안전관리자문단 : 저희가 생각하는 건 최악의 경우잖아요. 밀도를 좀 줄이거나 기계적으로 빨리 배출시킬 수 있는 것도….]

재사용 배터리를 관리하는 또 다른 업체는 당국의 관리 감독을 받지 않고 있습니다.

취급하는 리튬이 현행법상 규정된 기준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김병윤/제주동부소방서 예방구조과 소방위 : 법적인 지정 수량인 50kg이 안 넘어서 여기는 위험물 저장 시설로 지정이 안 된 상태예요. 소방에서 관리도 안 들어가는 상태입니다]

대전의 한 폐배터리 공장입니다.

소방펌프를 가동할 연료가 없고, 전용 호스도 낡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대전의 한 2차전지 공장도 리튬이나 금속 전용 소화기는 없고 일반 소화기만 비치돼 있었습니다.

이렇게 소방 당국이 자치단체와 함께 전국 전지 관련 업체 213곳에 대한 긴급 화재 안전조사에 착수했습니다.

하지만, 산업부에서조차 이번에 불이 난 곳과 같은 일차전지 업체의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지 못해 업체 전반에 대한 안전 점검이나 전수 조사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고승한 JIBS·이용주 TJB·최복수 KBC, 영상편집 : 김윤성)

▶ 리튬은 위험물질인데…"리튬 배터리는 위험물질 아냐" 왜?
▶ 일반 소화기로 못 끈다…'배터리 화재' 전용 소화기 특징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