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장마 벌써 시작됐는데…산사태 재발 방지 공사는 얼마나?

<앵커>

앞서 전해 드린 대로, 올해도 장마가 또 시작됐습니다. 해마다 이맘때 되풀이되는 피해를 막기 위해서 뭘 더 신경 써야 할지 오늘(20일)부터 차례로 짚어보겠습니다. 그 첫 순서로, 먼저 산사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신용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가파른 산 비탈길 위로 포크레인이 서 있고, 인부들은 무거운 돌을 차례로 옮깁니다.

해발 400m 높이의 산 중턱인 이곳은 산사태 예방 사업이 한창입니다.

양옆 '돌막이'를 통해 토사를 막고, 방수로를 통해 쏟아지는 물의 속도를 늦추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산사태를 막을 수 있는 사방댐을 짓는 작업은 지난해 피해가 컸던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곳곳에서 진행 중입니다.

문제는 더딘 속도입니다.

산사태로 집들이 떠내려갈 만큼 피해가 컸던 예천 벌방리 마을.

9개의 사방댐을 짓기로 했지만, 이제 겨우 1개 만들었습니다.

[신현무/벌방리 주민 : 저 위에 산사태 저 댐만 (공사)하지. 아직은 (주변에) 지금 뭐 '곧 시작한다' 소리만 하고 뭐 손도 안 대고 있는데.]

산 주인의 동의를 얻기 힘든 데다 일할 사람조차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공사 관계자 : 지금 사업에 투입되는 분들이 거의 다 65세 이상의 노령층 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젊은 분들이 좀 없고 해 가지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좀 큽니다.]

국내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지정된 2만 9천 곳 중에 사방댐이 설치된 곳은 약 1만 4천500곳으로, 절반 정도에 불과합니다.

더 큰 문제는 취약 지역으로 지정되지 못한 위험 지역이 훨씬 더 많다는 겁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산사태가 날 수 있는 곳이) 전국적으로 100만 개 정도가 있다고 추정이 돼요. 그러니까 지금 뭐냐면 실태 파악이 안 돼 있어요. (취약지역이) 안 맞는 게 당연하죠. 어떻게 보면.]

정부는 산사태 취약 지역을 10만 개까지 늘리고, 댐 건설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지만, 장마가 벌써 시작된 만큼 위험 지역에 대한 효율적인 방비를 우선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이수곤/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사방댐만 해결이 아니에요. 2m 높이의 철근 보호벽만 만들면, 치고 옆으로 빠져나가라는 이야기예요. 그거 몇백만 원도 안 되거든요. 산사태는 내려와, 그 대신에 자연적으로 빠져나가게 하라는 이야기예요.]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원형희, 디자인 : 최재영·조수인)

▶ 1년 전 폐허 마을 그대로…어르신들 산사태 대피도 막막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