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방 백화점 줄줄이 폐업…"이루 말할 수 없죠" 인근 상권도 불안

<앵커>

최근 지방을 중심으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가 줄줄이 문을 닫고 있습니다. 지방에 사는 인구가 줄다보니 매출이 나질 않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백화점이 없어지면서 근처 시장에도 손님들 발길이 끊기고 있습니다.

박예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방 대형 마트

1997년 대우백화점으로 시작해 9년 전 롯데가 인수해 운영 중인 롯데백화점 마산점.

이달 말 폐업을 앞두고 있습니다.

전국 영업장 매출 최하위에 800억 원 대 누적적자까지, 더 버티지 못했습니다.

시민들은 아쉬움을 감추지 못합니다.

[이영건/경남 창원시 :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 거죠. 사적인 볼일도 보고 여러 가지 일도 하고 그러죠. 많이 아쉽죠.]

[지역주민 : 그래도 중간에서 살 게 있거든요. (아쉬운 건) 이루 말할 수 없죠.]

현대와 NC 백화점 부산점 등 다수 지역 백화점과 홈플러스 해운대점과 서면점 등 5년내 문을 닫은 전국 대형마트는 35곳에 달합니다.

인구 감소에다 고령화로 소비 여력이 떨어지는 지방에 특히 폐점 점포가 집중됩니다.

문제는 지방의 경우 대형 유통점을 중심으로 주변 상권이 형성되다 보니, 인근 자영업자들이 덩달아 위기에 직면한다는 점입니다.

폐점을 앞둔 백화점 주위로는 이렇게 지역 주민들이 많이 다니는 대규모 시장이 위치하고 있어 하나의 상권을 이루고 있습니다.

[박병국/인근 시장 상인 : 시장에 오는 손님들이 평소에도 백화점 휴점하면 사람들이 많이 안 오거든요. 백화점 쇼핑했다가 시장 한바퀴 돌고 들어가는데, 이 백화점이 없어지면 (상인들은) 많이 휘청거리죠.]

문 닫지 말아달라 상인들 반발은 커지지만, 이커머스 활성화로 오프라인 매출은 더 감소하니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난감한 상황입니다.

대형 유통망 폐점이 주변 상권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수치로 확인돼, 지금은 빈 부지에서 아파트 공사가 한창인 서울의 한 대형마트 경우, 4년전 폐점 후 인근 상권 평균 매출액이 5% 넘게 줄었고, 주말은 8% 가까이 감소했습니다.

서울·수도권과 지방간 유통망 양극화가 더 심해지면서, 점포 폐점이 가져올 일자리 감소와 지역 상권 침체의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우기정, 디자인 : 조성웅)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