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을 받은 90대 노인이 병상을 찾기 어려워 119를 불렀습니다. 
  
 
  
 어렵기는 119도 마찬가지 전화로 이곳저곳을 알아보다, 응급 병상이 남아 있는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그러자 병원과 구급대 사이 실랑이가 벌어집니다. 
  
 
  
 [병원 직원 : 어떻게 환자를 그냥 이렇게 데리고 오세요.] 
  
 
  
 [구급대원 : 전화하니까 안 받으셔가지고 지금.] 
  
 
  
 [병원 직원 : 저희 지금 격리실도 없어서 (상황판에) '호흡기 불가'로 띄워져 있는 거 아니에요?] 
  
 
  
 [구급대원 : 아니요, 그렇게는(불가라고) 안 띄어져 있던데….] 
  
 
  
 의료진은 전화를 못 받은 이유를 설명합니다. 
  
 
  
 [병원 의료진 : 전화를 계속 통화 중이었어요. 여기도 전화 오고 지금.] 
  
 
  
 환자의 상태는 악화하고 있습니다. 
  
 
  
 [산소 포화도는 얼마에요? (지금 89%요.)] 
  
 
  
 자칫 구급차 안에서 비극이 생길 수 있는 상황. 
  
 
  
 구급대의 전화기가 바빠집니다. 
  
 
  
 [구급대원 : 한양 성모 아산, 안 돼요? (네.) 한양 성모 아산 보라매 보훈 강동 경희대 (병원은)? (했어. 안 돼.)] 
  
 
  
 코로나19 엔데믹 선언에도 확진자는 계속 늘어 하루 평균 1만 8천 명씩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격리 병상은 국가 지정 병상까지 합쳐 3천5백 개뿐입니다. 
  
 
  
 질병관리청은 확진자도 일반 병상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했지만 병원 대부분은 격리실이 없으면 수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 취재 : 조동찬, 구성 : 김도균, 편집 : 정용희, 제작 : 디지털뉴스기획부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