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철마다 가격 올린 명품업체들 '떼돈'

철마다 가격 올린 명품업체들 '떼돈'
잇단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들의 눈총을 샀던 루이뷔통, 샤넬, 에르메스 등 주요 명품업체들이 지난해 눈부신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의 영향으로 '보복 소비' 추세가 확산한 데다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중시하는 MZ세대까지 명품 소비 대열에 가세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됩니다.

일부에서는 허영심 또는 과시욕으로 인해 가격이 오르는데도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인 '베블렌 효과'가 사치품 소비 증가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오늘(21일) 업계에 따르면 샤넬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1조2천238억 원으로 전년(9천296억 원)보다 31.6%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천490억 원으로 전년(1천491억 원) 대비 67%나 급증했습니다.

루이뷔통코리아의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40% 늘어난 1조4천681억 원으로 집계됐고, 영업이익은 3천19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습니다.

가장 가격이 비싼 에르메스도 두 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달성했습니다.

에르메스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5천275억 원, 영업이익은 1천704억 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6%, 28% 늘었습니다.

이른바 '3대 명품'으로 일컬어지는 '에루샤'(에르메스·루이뷔통·샤넬을 합쳐 부르는 말)의 합산 매출이 3조 원을 넘어선 것은 작년이 처음입니다.

에루샤 (에르메스·루이뷔통·샤넬) (사진=연합뉴스, 게티이미지코리아)

다른 고가품 브랜드들의 실적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디올의 지난해 매출은 6천139억 원으로 전년보다 87%, 영업이익은 2천115억 원으로 102% 성장했습니다.

불가리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48% 늘어난 2천722억 원이었습니다.

이런 호실적은 주요 명품 브랜드들이 지난해 제품 가격을 여러 차례 인상한 가운데 달성한 것이어서 눈길을 끄는데요, 루이뷔통은 지난해 5차례, 샤넬은 4차례나 가격을 올렸습니다.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의 명품 구매 욕구를 꺾지 못한 것입니다.

오히려 빈번한 가격 인상은 '샤넬은 오늘 사는 것이 가장 싸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더욱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보복 소비' 트렌드가 명품 브랜드 실적을 견인한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해외 여행길이 막히자 여행 자금을 명품 소비로 돌리는 사람들도 늘어났습니다.

또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의 명품 사랑도 한몫했습니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로 해외여행에 쓰던 분기당 9조 원대의 자금이 2020년 2분기부터 3조 원 밑으로 떨어졌다"며 "남은 6조 원이 국내 소비, 특히 명품 등 사치재 소비에 쓰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과거에는 구매력 있는 중장년층이 명품 소비의 주체였지만 지금은 MZ세대라는 새로운 소비 주체가 등장하면서 명품 소비의 한 축을 담당했다"며 "MZ세대의 '플렉스 소비' 추세가 확산하면서 잇단 가격 인상에도 명품 업체 매출이 증가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