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광주 아파트 붕괴사고로 인근 건물의 상인들도 피해를 입었습니다. 하지만 수색은 늦어지고 사고 책임자들은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서 현장에서는 피해 상인들과 실종자 가족들이 서로 미안해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신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광주 붕괴 아파트 바로 옆 3층짜리 상가입니다. 
  
 
  
 문구점과 꽃 도매가게 등이 있는 곳인데 무너진 건물 잔해가 상가를 덮쳤습니다. 
  
 
  
 여기가 원래 유리창인데 다 깨져서 바람과 먼지를 막기 위해 천막으로 임시방편으로 막아 놓은 상태고요, 판매해야 하는 필통은 먼지가 들어찼고 찢어졌습니다. 
  
 
  
 그리고 안쪽으로 좀만 더 들어와서 보시면요, 무거워서 들지도 못하는 시멘트 돌덩어리가 문구점 안쪽까지 들어와 있습니다. 
  
 
  
 [국경리/인근 상인 : 아무것도 다 팔 수 없어요. 이렇게 된 물건을 신학기에 누가 사겠어요. 무서워서 기자님 같으면 사러 오겠어요?] 
  
 
  
 물건을 사 가던 거래처들도 하나둘 끊기고 있습니다. 
  
 
  
 [선문규/인근 상인 : 혹시 언제쯤부터 가능하냐 이렇게는 말씀을 하시죠. 다른 데로 갈까 봐 그런 게 사실 걱정돼요.] 
  
 
  
 공사 현장에 문제가 있다고 수없이 민원을 제기했던 것을 생각하면 분통이 터지는데, 현장에 온 지자체장의 답은 이렇습니다. 
  
 
  
 [이용섭/광주시장 : 감독기관이 구청이기 때문에 제가 후에 확인해보니까 시에 민원을 낸 건 없어요. 공직자들의 잘못이 있으면 일체의 관용 없이….] 
  
 
  
 수색은 길어지고, 사고에 제대로 책임지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 상황. 
  
 
  
 [홍석선/상가 자치회장 : 가장 마음 아픈 게 실종자 가족 대표분이 저한테 죄송하다고 하더라고요. 자기들 때문에 우리가 이런 피해를 입고 있다고 생각을 하시니까.] 
  
 
  
 삶의 터전이 망가진 상인들과 가족의 생사도 알 수 없는 실종자 가족들이 서로 위로하며 버티는 현실에 속이 끓습니다. 
  
 
  
 [안 모 씨/피해자 가족 대표 : 피해를 입은 사람들끼리 서로 '죄송합니다', 서로 '미안합니다', 도대체 미안해야 할 사람이 저희가 아니지 않습니까. 그 사람들의 목소리가 묻히는 것도 저희는 원치 않는다는 거죠. 똑같은 피해자인데.]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