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우주 '숙제' 해결할 차세대 웹 망원경 닷새 뒤 마침내 우주로

우주 '숙제' 해결할 차세대 웹 망원경 닷새 뒤 마침내 우주로
허블 우주망원경의 명성을 이으며 우주의 수수께끼로 미뤄뒀던 많은 의문을 풀어줄 차세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닷새 뒤에 발사됩니다.

올해에만 네 차례 발사 일정이 연기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웹 우주망원경은 미국 동부시간 기준 24일 오전 7시 20분 프랑스령 기아나 쿠오루의 유럽우주국(ESA) 우주센터에서 아리안5호 로켓에 실려 우주로 향합니다.

지난 2004년 건조가 시작된 뒤 17년 만입니다.

1989년 허블 망원경의 뒤를 이을 적외선 망원경으로 첫 아이디어가 나온 시점부터 따지면 30년이 넘습니다.

잇단 개발 지연으로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발사가 연기되면서 실망도 컸지만, 불씨를 유지한 것은 우주를 더 멀리,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는 가장 크고 강력한 망원경이 밝혀줄 성과에 대한 기대였습니다.

웹 망원경은 우주 공간에서 태양 빛 차광막과 주경을 펼치는 등 역대 우주선 중 가장 복잡한 우주 배치 과정의 고비를 넘겨야 하지만, 일단 가동되면 빅뱅 이후 1세대 은하, 더 나아가 1세대 별의 폭발까지 들여다보며 우주와 관련된 많은 의문에 답을 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웹 망원경은 근적외선부터 중적외선(600∼28,800nm)으로 우주를 봅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우주의 먼지와 가스를 뚫고 더 멀리 갈 수 있습니다.

이는 가시광선을 중심으로 자외선부터 근적외선(115∼2,500nm)까지 포착하는 허블망원경보다 웹 망원경이 더 멀리 볼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웹 망원경은 해상도와 직결된 주경의 크기도 6.6m에 달합니다.

지름 1.32m의 육각형 거울 18개를 하나의 거울처럼 이어 붙여 허블 망원경(2.4m)이나 같은 적외선 망원경인 스피처 우주망원경(0.85m)보다 훨씬 큽니다.

(사진=NASA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