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보신 거처럼 돌파 감염 비율이 계속 높아지면서 방역 당국은 추가 접종을 더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군 의료진을 투입하고, 방역패스 유효기간을 6개월로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박수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기도의 이 요양병원은 입소자와 종사자 450명 중 96%인 430여 명이 추가 접종을 끝냈습니다. 
  
 
  
 서울의 이 요양병원도 추가 접종이 아직 진행 중인데 약 600명 중 90%가량 접종을 마쳤습니다. 
  
 
  
 최근 요양병원과 시설에 집단감염이 집중됐고, 위중증 환자도 속출했습니다. 
  
 
  
 정부가 이들에 대한 추가 접종 간격을 두 번에 걸쳐 두 달 줄이면서 접종을 적극 권고했던 이유입니다. 
  
 
  
 [수도권 요양병원 관계자 : 불안감 때문에 (망설이는) 그런 건 있었는데 설득했죠. (병원에서) 안전하다는 거에 대해서 좀 이해시키고 이런 게 좀 있어야 해요.] 
  
 
  
 요양병원과 시설은 이르면 오늘(26일) 추가 접종을 완료할 계획이었지만, 오늘 0시 기준 61%에 그쳤습니다. 
  
 
  
 [이기일/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 : 다소 어려운 곳은 요양시설입니다. 요양시설은 촉탁의가 외부에 있고, 그렇기 때문에 사실은 접종 인력이 없습니다. 방문접종팀을 꾸려서 지금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방역 당국은 군의관 등 군 의료인력 60명을 지원받아 접종 인력이 부족한 지역과 시설에 투입했습니다. 
  
 
  
 [권덕철/보건복지부 장관 : 일상회복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추가 접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런 이유로 방역패스에 유효기간을 두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50대 이상 고령층의 접종 간격이 4~5개월로 단축된 만큼, 최장 5개월을 기준으로 추가 접종 기간 한 달을 더해 6개월로 하는 방안이 유력합니다. 
  
 
  
 유럽연합이 추진 중인 9개월보다 짧습니다. 
  
 
  
 대상을 성인에 국한할지, 아니면 청소년을 포함한 접종 대상자 전체로 할지, 그리고 구체적 운영방안도 아직 논의 중입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조무환, CG : 이종정·박동수)    
  
 
  
 
  ▶ 수도권 병상 대기 1,310명…"기다리란 말 뿐" 
  
 
  ▶ 델타보다 센 '누 변이'…백신 무력화에 촉각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